별자리의 기원
별자리는 처음부터 우리가 널리 알고 있는 별자리로 정해져 있었던 것은 아니다. 각 나라나 지역마다 다르게 사용되고 있었던 것이 하나로 통합하면서 오늘날 별자리가 생긴 것이다.
오늘날 별자리의 기원은 서구 별자리로, 기원전 수천년경 바빌로니아 지역에 살던 셈족계 유목민인 칼데아인들에서부터 시작되었다. 그들은 가축을 키우고, 푸른 초목을 따라 이동하는 생활을 하면서, 밤하늘을 쳐다보게 되고, 밝은 별들을 연결시켜 동물에 비유하면서부터 별자리가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B.C. 3000년경에 만든 이 지역의 표석에는 양·황소·쌍둥이·게·사자·처녀·천칭·전갈·궁수·염소·물병·물고기자리등 태양과 행성이 지나는 길목인 황도를 따라 배치된 12개의 별자리, 즉 황도 12궁을 포함한 20여 개의 별자리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고대 이집트에서도 B.C 2000년경에 지중해 무역을 하던 페니키아인들에 의해 바빌로니아· 이집트의 천문학이 그리스로 전해져서 별자리이름에 그리스신화 속의 신과 영웅, 동물들의 이름이 가미되었다. 세페우스· 카시오페이아 ·안드로메다· 페르세우스 ·큰곰· 작은곰 등의 별자리가 그러한 것들이다. 그후 AD 150년경 그리스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가 그리스천문학을 집대성한 <알마게스트>란 책에는 북반구 별자리를 중심으로한 48개의 별자리가 실려 있다. 그 분포를 보면 황도상에 있는 별자리가 12개, 황도 북쪽에 있는 별자리가 21개, 황도 남쪽에 있는 별자리가 15개등으로, 이 별자리들은 15세기까지 유럽에 널리 알려졌다.
15세기 이후에는 원양항해의 발달에 따라 남반구의 별들도 다수가 관찰되어 새로운 별자리들이 첨가되기에 시작하였다. 대항해시대 이후 서양인들이 남반구에 진출하면서 항해사들은 남쪽 하늘의 새로운 별자리들 발견하여 기록했고, 1603년 독일의J. 바이어는 16C경 네덜란드 항해사 데오루스의 기록에 의거하여 그의 책 우라노페트리아에서 카멜레온, 극락조, 황새치등 12개의 별자리를 적어놓았다. 또 근대 천문학의 태동과 함께 망원경이 발달함에 따라 어두운 별들을 관측할 수 있게 되어 종래의 밝은 별자리 사이를 메우기 위해 작은 별자리들을 신설하게 되었는데, 17C말에 헤벨리우스에 의해 만들어진 작은 여우, 작은사자, 방패등의 별자리와 루시에에의해 만들어진 비둘기 , 남십자등의 별자리가 그 예이다.
20세기초에 이르러, 별자리 이름은 지역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고, 그 경계도 달라서 자주 혼란이 생기고 불편한 일이 많이 발생하였다. 때마침 1922년 발족된 국제천문연맹에서 별자리의 계통 정리 제안이 거론되고, 1928년 총회에서 하늘 천체를 88개의 별자리로 나누어 황도를 따라서 12개, 북반구 하늘에 28개, 남반구 하늘에 48개로 모두 88개의 별자리로 확정하였다. 또 종래의 알려진 별자리의 중요 별이 바뀌지 않는 범위에서 천구상의 적경과 적위에 나란한 선으로 별자리의 경계를 정하였다. 또 라틴어 소유격으로 된 별자리의 학명을 정하고, 3문자로 된 별자리의 약부호를 정하였다. 이것이 현재 쓰이고 있는 별자리이다.
이 88개의 별자리 중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별자리는 북두 칠성등 67개이고, 일부만이 보이는 별자리가 남십자등 12개, 안전히 보인지 않는 별자리는 물뱀등 9개이다. 또 별자리는 아니나 별의자리의 일부로서 별자리와 구분되어 부르는 별의 집단을 성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렇게 변해온 별자리는 옛부터 여행자와 항해자의 길잡이가 되어왔고, 오늘날에는 천문학자들의 밤하늘의 지도로 이용되고 있다.
<출처 : 천문연구원>
'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171건
- 2007/01/18 별자리 기원 (2) - Asteria
- 2007/01/16 스킨 변경 중입니다..;;; - Asteria
- 2007/01/16 배경음악 변경! - Asteria
- 2007/01/14 화살자리 이야기 - Asteria
- 2007/01/10 접속 장애 안내...! - Asteria
별자리 기원
스킨 변경 중입니다..;;;
현재...스킨을 새로 하나 받아서 변경 중에 있습니다...;;;
이곳을 운영중이기는 하나...
이런 프로그램 짜고 하는데에는....
거의 지식이 없다 하다보니...
이거 만지작 저거 만지작....이러다 보니...
종종 페이지가 열리지도 않을때가 있습니다..;;;;
가끔 오시다 왜이래 하시지 마시고...
조금만 이해 해주세요...^^;;;
그럼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시길....
크리스마스도 지났는데...
계속 캐롤를 하기에 너무 민망하더군요..쿡..;;;(심히 게으름 뱅이인거야..;;)
그래서 아래와 같이 음악을 바꾸어 보았습니다..;;
화살자리 이야기
사랑의 신 에로스가 쏘아 올린 화살밤하늘 은하수를 누비다 보면 독수리자리 북쪽에 희미한 4개의 별이 화살처럼 그럴듯하게 모여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온 하늘에서 세 번째로 작은 별자리인 화살자리다.
이 별자리는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가 정한 48개 별자리 가운데 하나다. 화살자리의 화살은 누구의 것일까.
여기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한 이야기에 따르면 광명의 신 아폴론이 외눈박이 거인 키클로푸스를 죽일 때 사용한 화살이라고 한다. 키클로푸스는 최고의 신 제우스의 대장장이로 제우스에게 번개를 만들어 주었다.
제우스는 아폴론의 아들이자 의술이 뛰어나 죽은 사람도 다시 살릴 수 있었던 아스클레피오스를 번개로 죽였다. 인간이 아스클레피오스 덕분에 죽지 않는 능력을 얻을까 두려워했기 때문이다. 아폴론은 아들의 복수를 하기 위해 키클로푸스에게 화살을 쏘았다고 한다.
또 가장 힘센 영웅 헤라클레스가 인간에게 불을 가져다준 프로메테우스를 구하기 위해 쏜 화살이라는 얘기도 전해온다. 프로메테우스는 제우스가 감추어 둔 불을 훔쳐 인간에게 내주었다.
제우스는 프로메테우스를 잡아다가 코카서스 바위에 쇠사슬로 묶어 놓고 독수리에게 간을 쪼이는 벌을 내렸다.
밤이 되면 간은 다시 회복돼 프로메테우스는 끊임없이 고통을 겪었다. 그러다가 마침내 헤라클레스가 이 독수리를 화살로 쏴 죽여 프로메테우스는 괴로움에서 벗어났다고 한다. 물론 이 화살의 주인으로는 사랑의 신 에로스(큐피드)가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활과 화살을 가진 에로스는 장난기 많은 연애의 신이다.
그의 황금 화살을 맞은 사람는 격렬한 사랑을 느끼고 납으로 된 화살을 맞은 사람은 미워하는 마음을 갖게 된다고 한다.
화살자리는 견우별과 직녀별 사이에 놓여 있다. 견우와 직녀는 동양의 인물이고 에로스는 서양의 신이긴 해도 그럴듯한 배열이다.
견우와 직녀의 사랑은 결국 에로스의 장난이었을지 모르겠다. 하지만 둘이 나눈 사랑의 결말은 너무 슬프다. 혹시 이제 더 이상 사람의 마음을 아프지 않게 하기로 결심한 에로스가 이곳에 화살을 던져 놓은 것은 아닐까.
<출처 : 글-이충환 동아사이언스 기자, 사진-박승철>
접속 장애 안내...!
안녕하세요~!!
현재 제가 얹혀서 살고 있는 Jeep2u 호스팅에서...
서버 교체로 인해 잠시(?)간 접속이 불가능 할꺼 같네요..^^;;
사용에 불편한 점이 있더라도 양해 부탁드립니다..^^;;;
(이용하시는 분이 있나~???)
접속 장애 시간 : 2007년 1월 13일 09 : 00 ~ 10 : 00
현재 사용에 반응이 느려 답답해 하셨을텐데..
서버 교체후에는 현재보다는 많이 나아질꺼라 생각 됩니다..^^
그럼 즐거운 시간 되시길....
- 밤하늘에 별을 세며~☆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살짝 어려운듯
간단하게 말하면 북반구는 유목민들에 의해서 만들어지기 시작했고
여기에 그리스 신화가 가미되었고 남반구는 멀리 배타고 나가기 시작하면서 별자리가 만들어 지기 시작 되었고 망원경이 발명되면서 잘 안보이던 별도 잘보이기 시작하여 어두운별도 별자리로 만들어 졌고
근대에 들어서 지역마다 사용되는 남반구와 북반구의 별자리를 이률적으로 정리하여 88개로 통일시켰다는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