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이야기/한국의천문대'에 해당되는 글 10건

  1. 2007/02/06 김해 천문대 - Asteria
  2. 2007/01/30 영월 별마로 천문대 - Asteria
  3. 2007/01/29 대전 시민 천문대 - Asteria
  4. 2007/01/24 보현산 천문대 - Asteria
  5. 2007/01/23 소백산 천문대 - Asteria

천문대 소개


사용자 삽입 이미지
김해시의 내외동에서 동쪽산을 보면 마치 산이 알을 품은 듯한 모습의 신기한 건물이 산꼭대기에 보인다. 이 건물이 바로 지난 2월에 개관한 영남지역에서 유일한 시민천문대인 김해천문대이다.
김해천문대는 지난 1998년 12월에 밀레니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천체와 우주에 대한 일반인의 궁금증을 해소하고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며, 시민들에게 낭만과 추억을 선사하기 위하여 추진되어 2002년 2월 1일에 개관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천문대의 형상이 알을 닮은 것은 기원전에 김해지역에서 형성되었던 가락국의 시조인 김수로왕이 알에서 태어난 것에서 유래되었다.
수로왕의 왕비인 허황옥은 인도의 아유타국 출신의 공주로 알려져 있는데, 첨단 항해장비가 없던 당시 허왕후가 배를 타고 가락국으로 올 때 을 보고 항해해 왔을 것으로 충분히 추측할 수 있다. 또한 가락국의 왕자가 진례 토성 위의 상봉에 천문을 보기 위하여 첨성대를 쌓았다는 역사적인 사실이 전해오고 있는데, 지금도 그곳을 을 보는 곳이라 하여 비비단이라고 전한다.
이러한 여러 가지 역사적 사실로 김해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고대국가 가야는 과 매우 깊은 관계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역사적인 관점에서 김해천문대의 건립은 시민 천문대로서의 가치뿐만이 아니라 가야의 천문대를 현대에 와서 계승한다는 문화계승의 차원에서도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천문대가 위치한 분성산 정상에서는 김해시의 전경을 한눈에 볼 수 있는데, 특히 을 관측할 수 있는 밤에 내려다본 김해시의 야경은 매우 절경이다.
천문대 인근에 가야랜드와 골프장, 그리고 현재 조성 중인 가야 민속촌 등 김해시의 문화 관광단지와 연계되어 있어서 김해시민 뿐만 아니라 관광객들에게도 더없이 좋은 장소가 될 것이다.




일반 현황

사용자 삽입 이미지

주소 : [621-170] 김해시 어방동 산 2-3번지
 (분성산 정상)에 위치
면적 : 부지 - 1,996평, 건물면적 - 460평(2층)
전시동 : 전시실, 천체 투영실, 매점, 휴게실, 전망대 등
관측동 : 제 1 관측실, 제 2 관측실, 보조관측실
사무동 : 사무실, 야외화장실
운영 : 김해시시설관리공단



전시동

(1) 천체투영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천체투영실
은 지름 8m의 둥근 반구형 스크린에 밤하늘의 들을 재현해주는 천체투영기라는 특별한 영사기가 비치되어 있다. 이곳에서는 약 20~30분 동안 계절별 별자리 등 밤하늘의 별자리와 우주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교육 영상물을 상영한다.
상영시간은 평일에는 4회, 주말이나 휴일에는 추가 운영 하는데, 상영이 시작되면 입장할 수 없으므로 상영시간표를 보고 관람계획을 세우는게 좋다.
- 시설 : 8m 돔 스크린, 좌석 : 40석
- 장비 : GS AT 천체투영기
- 내용 : 계절별 별자리
- 관람요금 : 500원

(2) 전시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천체투영실
에서 복도를 따라 조금 더 들어가면 알모양의 건물 내부에 들어갈 수 있는데, 이 건물은 지름 20m의 구형 철제구조물로 매우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다. 이런 구조는 호기심 많은 아이들에게 흥미를 유발시키기 매우 좋다. 그리고 이 건물의 안쪽통로를 따라 위로 올라가면 전망대, 관측동 등으로 나갈 수 있는 통로와 연계되어 있다. 이 건물이 알모양으로 되어 있는 것은 가야의 시조 수로왕 알에서 깨어나 널리 인간세상을 이롭게 한 것처럼 오늘날의 우리 아이들이 알을 깨고 나와 더 넓은 우주와도 같은 포부를 가지기를 기원하는 마음이 담겨있다. 전시동의 내부에는 우리나라의 천문관측의 역사를 입체영상으로 설명해 주는 매직비젼, 태양계 각 행성에서 자신의 몸무게를 잴 수 있는 중력실험장치를 비롯해 10개의 천문 교육 전시기구가 있는데, 이러한 기구들은 관람객이 직접 작동시켜 볼 수 있어 교육적인 효과가 크다.



전시동의 기구

지구의 자전과 공전
지구의 자전과 공전으로 생기는 천체의 위치변화를 설명해 주는 장치
밤하늘의 별자리
사계절의 대표적 별자리를 보여주는 시설로 관람객이 스위치를 조작하면 해당 계절의 별자리가 빛이난다.
천문상식 Q&A
그림 퍼즐과 천문상식 퀴즈로 구성되어 있다.
중력실험장치
저울에 올라가면 각 행성에서의 체중을 표시.
천문학역사 매직비젼
간의, 혼천의, 관천대, 첨성대 등의 용도와 유래를 입체영상을 통해 재미있게 설명해주는 장치. 사람이 접근하면 자동으로 실행된다.
개기일식 실험장치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직접 페달을 밟으면 의자가 움직여서 개기일식 현상을 체험할 수 있는 장치.
별자리 밟기
황도 12궁의 별자리 판. 밟으면 불이 들어오는 장치.
푸코진자
천장에 긴 줄을 달아 끝에 추를 매달고 지구의 자전을 실험하는 장치. 진자의 왕복운동은 관성 때문에 일정한 방향을 유지하려는 성질을 가짐. 그러나 지구의 자전으로 지구상의 관찰자에게는 진동면이 회전하는 것처럼 보임.
미래의 우주도시
미래의 가상의 우주도시 모형으로 스위치를 누르면 연구단지, 인공위성 등 우주도시의 해당 시설물이 반응하도록 되어있는 장치
기타 포스터 전시물
태양, 행성, 성운, 성단, 은하등
대형 TV
전시동 2층에 설치된 대형 TV에는 우주과학에 관한 내용이 방영된다.



관 측 동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시동을 나오면 정면으로 관측동이 보인다. 관측동은 천체망원경이 설치되어 시민들이 직접 을 눈으로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관측동은 2대의 주망원경이 설치된 제1관측실과 제2관측실, 그리고 4대의 작은 망원경이 설치된 보조 관측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맑은 날 밤에는 언제든지 관람할 수 있다.
관측실의 각 망원경들은 흥미로운 천체들을 볼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는데, 태양계의 여러 행성들과 성운*, 성단*, 등 우리 은하계의 흥미로운 천체들을 볼 수 있으며, 계절에 따라 별자리가 바뀌게 되므로 관측할 수 있는 대상은 조금씩 달라진다. 그리고 달을 관측할 수 있는데, 달은 음력 날짜에 따라 관측할 수 있는 날이 있는 반면에 관측할 수 없는 날도 있다. 달을 관측할 수 있는 날은 음력 4일경부터 음력 17일까지인데, 그 이외의 날에 관측을 할 수 없는 이유는 달이 지구의 주변을 돌고 있기 때문에 달이 뜨는 시간이 매일 조금씩 달라지기 때문이다. 관측동에 가면 천문학 전문요원이 배치되어 있는데, 관측대상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으며, 우주에 대한 궁금증을 물어보면 언제든지 명쾌한 답을 들을 수 있다.
* 성운 : 성운은 우주공간에 흩어져있는 기체가 한곳에 모여 있는 것을 말하는데, 우주공간의 기체가 모여서 이 생겨나는 곳, 이 나이가 들어서 우주공간으로 흩어지는 곳 등으로 천문학자들은 이런 성운에서 의 신비를 풀어나가고 있다.

* 성단 : 성단이란 수백 내지 수십만개의 이 우주공간의 한 지역에 몰려 있는 들의 집단을 말한다. 우리은하계에서 볼 수 있는 성단은 공모양으로 이 수십만개 모여있는 구상성단과 수백개 내지 수천개의 이 모여 있는 산개성단으로 구별되는데, 이 두 종류의 차이는 생성기원과 관계가 있다.



관측동 망원경

제1관측실
- 시설 : 7m 원형돔
- 천체망원경 : 굴절 망원경
구경 : 200mm
초점비 : f/10
광학 설계 : 플루오라이트 아포크로매트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2관측실
- 시설 : 7m 원형돔
- 천체망원경 : 반사 망원경
구경 : 600mm
초점비 : f/10
광학 설계 : 리치크레티앙식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보조관측실
- 시설 : 9 * 9 슬라이딩 돔
- 천체망원경 :
구경(mm) 초점비 광학설계 대수
102
f/9
ED 아포크로매트 굴절 망원경
2
105
f/6.4
SD 아포크로매트 굴절 망원경
1
125
f/6.4
ED 아포크로매트 굴절 망원경
1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찾아오시는 길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차를 타고 오시는 방법
- 구포행 기차를 탑니다.
- 구포역에서 나와 육교를 건너 김해 인제대행 버스(8, 8-1, 128-1)를 타고 인제대학교까지 갑니다.
  (약30분소요)
- 인제대학교에서 택시를 타고 천문대 주차장으로 옵니다.
  (약 10분 소요)
- 천문대 주차장에서 도보로 천문대까지 옵니다.(약 15 -20 분)

시외버스를 이용하시는 방법
- 김해 터미널에서 택시를 타고 천문대 주차장으로 옵니다. (약 20-30분 소요)
  버스를 타고 인제대에서 택시를 타는 것보다 편리하고 비슷한 경비가 듭니다.
  상황에 따라 택시로 직행하는 것이 더 쌀 수도 있습니다.
- 천문대 주차장에서 도보로 천문대까지 옵니다.(약 15 -20 분)

승용차로 오는 방법
- 경부고속도로에서 부산방면으로 내려 옵니다.
- 대구에서 구마고속도로를 따라 오다가 마산에서 김해방면으로 나와서 동김해 나들목에서 나와서 직진하면
  됩니다. 고동색 이정표에 김해 천문대가 안내되어 있습니다.
  인제대학교를 지나면 가야랜드 정문 근처에 하늘색 이정표가 하나 있는데, 그 앞에서 좌회전하여 김해천문
  대 주차장 까지 외길을 따라 올라오면 됩니다.
- 천문대 주차장에서 도보로 천문대 까지옵니다.(약 15 -20 분)



<자료 출처 : 김해 천문대 홈페이지 http://www.astro.gsiseol.or.kr/>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2007/02/06 13:46 2007/02/06 13:46

천문대 소개



사용자 삽입 이미지
NIKON CORPORATION | NIKON D70 | Manual | 1/125sec | F2.8 | 14mm | 35mm equiv 21mm | ISO-800

* 마로란?

- (star) + 마루(정상) + 로(고요할로)의 합성어. : 을 보는 고요한 정상.

* 특징

- 시민천문대 최상의 관측조건인 해발 800m에 위치
- 다수의 보조망원경 보유(반사, 굴절 총 15대)
- 천문대 주변에 삼림욕장, 극기훈련장 등
- 연간 관측일 수 190일로 시민천문대 국내 최고의 관측여건 보유
- 편리한 교통(영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접근 용이)

* 현황

- 위 치 : 강원도 영월군 영흥리 봉래산 정상(해발 799.8m)
- 개관일자 : 2001년 10월 13일
- 대지면적 : 4,058㎡(1.227평)
- 건물면적 : 931㎡(282평)
- 건축규모 : 지하2층, 지상4층
- 건축구조 : 철근콘크리트라멘조(일부철골근)


천문대 바깥 전경


사용자 삽입 이미지
Hewlett-Packard Company | HP PhotoSmart 715 | 0ssec | F2.55 | 20.74mm | ISO-100 | 2003:09:03 20:09:19
사용자 삽입 이미지
Hewlett-Packard Company | HP PhotoSmart 715 | 0ssec | F2.83 | 7.13mm | ISO-100 | 2003:09:03 20:19:26
<앙부일구, 자오의>

해시계(앙부일구)

천문대 입구를 지나 천체투영실 옆으로 가면 볼 수 있다. 우리가
일상시 사용하는 시계의 시간과 해시계의 시간을 비교해 보는
것도 재미있다.

단,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시간은 동경 135도 기준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실제 우리나라 시간보다 30분 정도 차이가 난다. 서울은 127도 정도.

따라서 우리가 가지고 있는 시계의 시간과 비교하기 위해
앙부일구 옆면에 있는 보정표를 이용해야 한다.


자오의


지평선과 자오선을 표시한 형상구조물


사용자 삽입 이미지
Hewlett-Packard Company | HP PhotoSmart 715 | 0ssec | F4.05 | 7.13mm | ISO-100 | 2003:09:03 20:09:50
사용자 삽입 이미지
Hewlett-Packard Company | HP PhotoSmart 715 | 0ssec | F2.08 | 7.56mm | ISO-100 | 2003:09:03 20:19:07

<별자리판, 오픈플라네타리움>

별자리

총 88개의 별자리를 스테인테스판에 새겨놓았습니다.

사진에서 오른쪽 별자리판 :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별자리
사진에서 왼쪽 별자리판 : 남반구 별자리


오픈플라네타리움

천문대 마당에 설치되어 있는 별자리 기구로 검은색 둥근 구모양이다.
봄 여름 가을 겨울 4개의 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아래를 통해 안으로 들어가 보면 작은 구멍을 통해
각각의 별자리를 볼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낮에 제대로 보인다.


천문대 지하 전경
사용자 삽입 이미지
NIKON CORPORATION | NIKON D70 | Manual | 0ssec | ISO-800

<천체 투영실>

천체 투영실

가상으로 실제 밤하늘과 똑같이 만들어 놓고 별자리 찾는 법이나
신화를 소개하는 곳.

약 4000여개의 을 만들어 낼 수 있으며 태양의 움직임이나
행성의 이동, 달의 모양변화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의 구수한 입담으로 듣는 별자리 설명은
천문대의 또 다른 재미



천문대 1층 전경


사용자 삽입 이미지
NIKON | E4500 | Program | 0ssec | F4.2 | 10.7mm | 35mm equiv 51mm | ISO-100 | 2004:01:10 16:01:46
사용자 삽입 이미지
NIKON | E4500 | Program | 0ssec | F3.3 | 7.85mm | 35mm equiv 38mm | ISO-100 | 2004:01:10 16:01:59
사용자 삽입 이미지
NIKON | E4500 | Program | 0ssec | F2.6 | 7.85mm | 35mm equiv 38mm | ISO-100 | 2004:01:10 15:59:07

<고대인의 우주관, 푸코진자>



고대인의 우주관

블라인드를 이용하여 고대인의 우주관을 표현하였다. 총 4개의 우주관이
표현되어 있으며 동양과 서양의 고대 우주관을 비교해 볼 수 있는 전시물


푸코진자

푸코진자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아쉬운 점이 있다.
추가 무거우므로 너무 세게 밀면 안된다. 잘못하면 부딛혀서 큰 사고가 날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NIKON | E4500 | Program | 0ssec | F3 | 7.85mm | 35mm equiv 38mm | ISO-100 | 2004:01:10 15:58:52
사용자 삽입 이미지
NIKON | E4500 | Program | 0ssec | F2.6 | 7.85mm | 35mm equiv 38mm | ISO-100 | 2004:01:10 16:00:07
사용자 삽입 이미지
NIKON | E4500 | Program | 0ssec | F2.6 | 7.85mm | 35mm equiv 38mm | ISO-100 | 2004:01:10 16:00:13

<태양 모형, 행성 모형>

태양 모형

태양의 내부 구조를 모형화한 전시물과 지구자전을
증명할 수 있는 푸코진자가 1층에 전시되어 있다.


행성 모형

층 천정에 매달려 있는 태양계 행성모형.

맨 끝에 있는 명왕성(이제는 행성이 아니라 소행성 134340이지만)은 굉장히 작으므로 잘 찾아봐야 겨우 찾을 수 있다.

각 행성의 크기를 한눈에 비교해 볼 수 있다.

1층에서 꼭 한번 봐야 되는 전시물.



천문대 2층 전경

사용자 삽입 이미지
NIKON | E4500 | Program | 0ssec | F3 | 7.85mm | 35mm equiv 38mm | ISO-100 | 2004:01:10 16:03:13
사용자 삽입 이미지
NIKON | E4500 | Manual | 1/30sec | F2.6 | 7.85mm | 35mm equiv 38mm | ISO-100 | 2004:01:10 16:04:04
<성운성단 사진 및 시청각실>


성운성단 사진 및 시청각실
2층에는 천체관련 다큐멘터리를 볼 수 있는 시청각실이 있다.

블랙홀, 태양의 죽음, 소행성, 새로운 지구를 찾아서 등 다양한 다큐멘터리를 항시 볼 수 있다.

시청각실 옆 벽에는 다양한 성운, 성단, 은하의 사진이 있어 사진촬영배경으로 인기.

천문대 4층 전경


사용자 삽입 이미지
NIKON | E5700 | Program | 0ssec | F8 | 8.9mm | 35mm equiv 34mm | ISO-100 | 2003:10:09 04:04:35
사용자 삽입 이미지
NIKON | E5700 | Program | 1/291sec | F6.3 | 8.9mm | 35mm equiv 34mm | ISO-100 | 2003:10:09 04:06:01
<보조 관측실, 주 관측실>

보조 관측실

천체망원경으로 관측하는 곳

350mm 반사 1대
280mm 반사 2대
150mm 굴절 2대
130mm 굴절 1대

태양관측용 130mm 1대, 풍경관측용 130mm 굴절 1대

등 8 대의 보조망원경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보조관측실에 있는 천체망원경은
컴퓨터가 자동으로 제어하는 망원경들로 손으로 움직이는 것이 절대 아닙니다.


주 관측실

4층 주관측실에는 구경 800mm의 주망원경이 자리하고 있다.

리치-크레티앵 방식으로 만들어진 망원경으로 2006년 11월 현재까지는 일반인들이 직접 이나 달표면을 관측할 수 있는 망원경 중에서 국내최대 크기이다.

이보다 큰 대표적인 망원경은 경상북도 영천 보현산 천문대에 설치되어 있는 직경 1.8m의 망원경이나 보현산 천문대는 과학자들이 연구하는 연구시설로 일반인들이 방문하여 자유롭게 관측할 수 있는 곳이 아니기때문에 직접 관측할 수는 없다.

주관측실 지붕은 일부만 열려 좌우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져있다.


천문대 이용 안내

이용시 주의 사항

1. "음주자"는 프로그램 입장이 불가능 합니다.

천체투영실은 환기가 잘 안되는 관계로 음주자가 입장하면 다수의 관람객, 특히 어린 학생들에게 큰 피해를 주게 됩니다.


2. "애완동물"과 같이 프로그램을 참여 하실 수 없습니다.


3. 지하 천체투영실과 4층 관측실에서는 "사진 촬영"을 할수 없습니다.

별자리 설명이나 관측할때는 우리 눈이 어둠에 적응해야 충분히 즐기실 수 있습니다. 투영실이나 관측실에서 설명할때는 조명이 없는 상태에서 설명을 드리는데 사진촬영을 하게 되면 다른 분들의 좋은 관람을 방해하게 됩니다. 사진 촬영은 1층~3층 사이만 가능합니다.
지하천체투영실과 4층 관측실은 촬영하시면 안됩니다.


4. 프로그램 진행 중간에는 입장 하실 수 없습니다.


5. 어린 아이들의 '반짝이 신발'은 안되요.

요즘 어린 아이들이 걸을때마다 불이 켜지는 신발을 많이 신겨서 오시는데 천문대에 오실때는 보통 신발을 신겨서 오세요. 신발의 불때문에 지하천체투영실에서는 별자리 설명이 어렵구요 4층 관측실에서 관측할때도 큰 지장을 초래합니다.

천문대 이용 요금

이  용  요  금
개  인
성  인
5,000원
초 중 고등학생
4,000원
단  체
성  인
4,000원
(30인 이상)
초 중 고등학생
3,000원
 
* 단체관람의 경우 반드시 전화로 사전예약 필수 *
할  인
* 영월군거주자(주민등록증 제시)
-50%
* 국민기초생활수급자
 
* 65세 이상
 
* 장애인(4급이하 + 보호자 1인)
무  료
* 국가유공자(국가유공자증 제시)
* 장애인(1~3급 + 보호자 1인)
* 보호자 동행 미취학 아동


천문대 찾아 오시는 방법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가용을 이용하실 경우]

1. 영월시내에서부터 : 약 10km
[영월시내] -> [춘천지방법원 영월지원] -> [영월중고등학교, 영월공고] ->
[속골삼거리 우회전] - 산길 - [천문대]


2. 서울 및 중부, 남부지방
[출발지] - 중앙고속도로 - 제천IC - 38번국도 - [영월시내]

3. 강릉 및 영동지방
(1) 고속도로를 이용할 경우
[출발지] - 영동고속도로 - [원주] - 중앙고속도로 - [제천] - 38국도 - [영월시내]
(2) 국도를 이용할 경우
[출발지] - 영동고속도로 - 장평IC -> [평창] -> [영월]



[대중교통을 이용하실경우]

영월까지 버스나 기차를 이용해서 오신 다음 [택시]를 이용해서 천문대까지 오셔야 됩니다.  천문대가 해발 800미터 산 정상에 있어 버스가 운행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버스나 기차를 이용하여 영월여행을 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택시나 랜트카를 이용하셔야 됩니다.


1. 택시요금

시내에서 천문대까지 대략 10km 정도이나 경사가 급한 산길을 계속
올라와야 되기 때문에 편도요금은 대략 만원~만오천원 정도입니다.


2. 렌트카

http://www.ywtour.go.kr/kor/CMSView.php?pid=2093

영월은 관광지가 여기저기 흩어져있기 때문에 차로 많이 이동해야
됩니다. 기름값이 적게 드는 렌트카를 이용하시는 것도 여행비용을
줄일 수 있는 한 방법일 수 있습니다.



영월 시내 -> 천문대(지도)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지도가 크기때문에 클릭해서 마우스 스크롤로 왔다갔다 하면서 보셔야 다 보실 수 있습니다.

제천 방향에서 38번 국도를 타고 영월쪽으로 오다가 터널두개를 연속으로 지나자 마자 오른쪽 길로 빠져서 영월시내쪽으로 들어옵니다.

시내쪽에서 동강다리 건너지 말고 왼쪽으로 진행하여 하나로마트를 지나서 계속 직진합니다.

속골 삼거리에서 우측 산길로 2km 정도 올라오다가 오른쪽 좁은 산길로 접어 들어 4km 정도 더 올라오시면 천문대입니다.


[태백방면]
다리를 건너와 우측 법원방향으로 진입하여 영월고등학교를 지나 속골삼거리쪽으로 올라오시면 됩니다.


<자료 출추 : 영월 마로 천문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2007/01/30 11:23 2007/01/30 11:23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서울에서 부산까지는 약 400km, 지구 둘레는 약 4만km, 지구에서 태양까지의 거리는 1억 5000만km, 다시 우리가 속한 은하계의 직경은 10만 광년, 그리고 우주에는 그런 은하들이 헤아릴 수 없이 많습니다.

우리가 주변의 울타리 안에서, 현재라는 한정된 시간 속에서만 자신의 사고를 묶어 두고 서로 반목하며 시기하고 고민할 때 잠시 밤하늘을 올려다 보십시오. 그곳에는 우리의 생각이 미칠 수 없는 크고 아름다운 세계가 펼쳐져 숨쉬고 있습니다. 이제는 내가 아닌, 한국인이 아닌, 지구인이 아닌 우주인으로서 더 큰 이상과 책임을 가지고 세상을 바라 볼 수 있는 마음을 열어드리려 합니다.

대전시민천문대는 일반 관람객을 대상으로 공개관측을 실시하는 국내 최초의 시민천문대입니다. 제1관측실에 설치된 10인치 굴절망원경은 국내 최대 구경을 지니고 있으며, 특히 홍염 필터를 이용하여 태양 홍염의 모습을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주로 맑은 날 주간에는 태양 관측을, 야간에는 행성과 달, 성운, 성단, 은하 등의 천체를 관측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천체투영관에서는 날씨에 관계없이 천체투영기를 이용한 가상의 빛으로 별자리 강의를 들으실 수 있으며, 기타 교육실과 전시실에서도 시청각 교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천문학의 세계를 접하실 수 있습니다.

대전시민천문대는 여러분들의 생각을 저 멀리 우주 밖으로 펼칠 수 있는 기회를 드립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위치 : 대전광역시 유성구 신성동 7-13
규모 : 부지 2,151.7m2, 연건평 770.05m2
개관일자 : 2001년 5월 3일
※ 대전시민천문대는 대전광역시에서 건립하여 수탁기관을 선정 운영하고 있습니다.



개관시간 : 14:00 ~ 22:00
휴 관 일 : 월요일, 공휴일 다음날, 명절 등

이   유 : 충남대학교 천문학과 교수 .대전시민천문대 운영위원장
서요원 : 대전시 교육청 정보과학기술과장
양승찬 : 대전광역시청 과학기술과장
류진형 : 한국우주정보소년단 대전사무국장
장세일 : 꿈돌이랜드 사장
정규성 : 건양대학교 교수



기관명 : (주)천문우주기획
e-mail : stars@starjoy.net



대전시청 버스노선 안내 바로가기

시내버스를 이용하실 경우
한화연구소 앞 :
112번

133번

135-1번

715번


천문대 앞 :
162번

185번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2007/01/29 11:44 2007/01/29 11:44

보현산 천문대 소개

사용자 삽입 이미지


1996년 4월에 완성된 보현산천문대는 경북 영천시 화북면과 청송군 현서면에 걸쳐있는 보현산의 동봉 정상일대 9,122평(30,156m2) 부지에 세워져 있다. 국내 최대 구경의 1.8m 반사망원경과 태양플레어 망원경이 설치되어 있어 국내 광학천문관측의 중심지로 항성, 성단, 성운과 은하 등의 생성과 진화를 연구하고 있다.

고도: 해발 1,124미터
좌표: 동경 128도 58분 35.68초, 위도 36도 9분 53.19초
주소 :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정각리 산 6-3, 770-820
전화 : 054-330-1000
팩스 : 054-336-9450

연 혁

1985년 보현산천문대 건설 추진
1992년 보현산천문대 도로 건설 시작
1996년 4월 보현산천문대 준공,
슈메이커-레비 혜성 목성 충돌 장면 관측
1996년 1k CCD 극미광 영상장비 개발
1998년 진공증착기 설치
1999년 2k CCD 시스템 개발
2003년 BOES(고분산 에쉘 분광기) 개발

시 설

1.8m 광학망원경동
건물에 들어가기전 입구에는 유리로 된 방풍실이 있다. 바람을 막아주는 통로 역할을 하며, 바깥쪽 입구는 항상 열려 있고 안쪽 입구는 항상 닫혀 있다. 1층에는 관측실, 간이주방, 화장실, 분광실험실이 있으며 2층에는 기기보관실 및 BOES 분광실이 있다. 3층은 통풍실로 열원인 망원경 전자부가 망원경 아래에 붙어 있어 관측시 사방의 창문을 열어서 주위 공기의 자연 통풍을 유발함으로 열이 4층의 망원경 돔내로 출입하지 못하게 하는 공간이며 망원경의 점검 및 수리를 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4층에는 망원경이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OLYMPUS OPTICAL CO.,LTD | C3100Z,C3020Z | Program | 1/400sec | F6.3 | 6.6mm | ISO-100 | 2004:02:11 13:31:11
사용자 삽입 이미지
OLYMPUS OPTICAL CO.,LTD | C3100Z,C3020Z | Program | 1/400sec | F2.8 | 6.6mm | ISO-100 | 2003:10:15 10:49:57
1.8m 망원경동 전경


태양망원경동
태양망원경동에는 관측실과 망원경 돔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측실에는 망원경 제어 컴퓨터 및 자료획득 컴퓨터가 있고 비디오 자료를 실시간으로 녹화하거나 볼 수 있는 비디오 및 모니터가 있다. 망원경 돔은 개방형(slide roof)으로 레일을 따라 움직일 수 있으며, 관측시에는 망원경이 외부로 완전히 개방된다. 주간에 태양플레어 망원경의 견학을 하려고 한다면 반드시 태양망원경 담장자에게 직접 사전 연락을 하여 안내를 받도록 해야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OLYMPUS OPTICAL CO.,LTD | C3100Z,C3020Z | Program | 1/800sec | F5.6 | 8.2mm | ISO-100 | 2004:02:11 13:39:30
사용자 삽입 이미지
OLYMPUS OPTICAL CO.,LTD | C3100Z,C3020Z | Program | 1/650sec | F6.3 | 7.3mm | ISO-100 | 2004:02:11 13:40:56
태양망원경동 전경


코팅/공작동
코팅/공작동에는 진공증착실(코팅실), 공작실, 변전실이 있다. 진공증착실에는 직경이 약 2.9m까지 증착할 수 있는 대형 증착기가 있으며, 매년 1.8m 망원경의 주부경을 재증착하고 있다. 그 외에 소백산천문대 61cm 망원경 주경도 같은 시기에 재증착을 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OLYMPUS OPTICAL CO.,LTD | C3100Z,C3020Z | Program | 1/650sec | F6.3 | 19.1mm | ISO-100 | 2004:02:11 13:30:20
사용자 삽입 이미지
OLYMPUS OPTICAL CO.,LTD | C3100Z,C3020Z | Program | 1/30sec | F2.8 | 6.6mm | ISO-100 | 0000:00:00 00:00:00
코팅/재증착동 전경


방문객 센터
방문객 센터에는 전시관이 마련되어 있다. 보현산천문대를 찾는 방문객들을 위한 공간으로 천체사진등이 전시되어 있으며, 간단한 기념품을 실비로 구입할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OLYMPUS OPTICAL CO.,LTD | C3100Z,C3020Z | Program | 1/500sec | F7 | 10mm | ISO-100 | 2004:02:11 13:37:40
사용자 삽입 이미지
FUJIFILM | FinePix S602 ZOOM | Aperture Priority | 1/42sec | F2.8 | 7.8mm | ISO-400 | 2003:05:19 13:28:49
방문객센터 전경


연구관리동
연구관리동은 2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층은 행정지원시설 및 실험시설이 갖추어져 있고 2층에는 연구시설과 관측자 숙소로 이루어져 있다.

  • 연구동 : 1층에는 행정실, 전자실험실 등이 있으며, 2층에는 연구관련 시설들과 연구실 등이 있다.
  • 숙소동 : 숙소동은 연구관리동 2층 동편에 위치해 있다. 4개의 양실과 4개의 한실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두 8개의 숙소가 마련되어 있다. 관측자들을 위한 관측자식당도 준비되어 있다. 숙소는 관측일정을 배정 받은 관측자만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 방문자들은 이 숙소를 사용할 수 없다.
  • 사용자 삽입 이미지
    OLYMPUS OPTICAL CO.,LTD | C3100Z,C3020Z | Program | 1/650sec | F5 | 19.1mm | ISO-100 | 2004:02:11 13:38:17
    사용자 삽입 이미지
    OLYMPUS OPTICAL CO.,LTD | C3100Z,C3020Z | Program | 1/30sec | F2.8 | 6.6mm | ISO-164 | 2004:02:11 20:08:01
    연구관리동 전경

    찾아오시는길


    접근방법
    영천시내에서 35번 국도를 타고 청송방향(북쪽)으로 약 20km 정도를 지나면 자천(마을)에 도착하게 된다. 자천을 통과하면서 과적차량 검문소가 나오고 천문대를 향하는 이정표가 보인다. 여기서 우회전하여 "옥계교"라는 작은 다리를 건너 10여분 정도 지나면 왼편으로 정각예배당이 보이고, 이내 작은 삼거리(정각삼거리)가 나온다. 여기서 좌회전하면 정각(마을)을 가로질러 천문대로 향하는 길(9km)에 들어서게 된다. 정각삼거리에도 보현산천문대를 안내하는 이정표가 있다.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할 때는 영천 시외버스 터미날에서 정각(정각리 3거리)까지 버스를 타고 온다. 여기서부터는 대중교통수단이 없기 때문에 도보로 이동하여야 한다. 보현산정상까지 도로를 이용하면 약 3시간(9.3km)이 소요되며 등산로를 이용하면 약 1시간 30분 정도가 소요된다.

    한편 영천 시외버스 터미날에서는 보현산천문대 입구인 정각리 3거리까지 좌석버스를 운행하며 이 버스의 영천 출발시간은 아래와 같다.

    영천-자천-정각 : 0645, 0845, 1340, 1640, 1920 (소요시간 약 1시간)
    영천-자양-정각 : 0740, 1025, 1250, 1445, 1740 (소요시간 약 1시간 20분)

    대구의 동부시외버스터미날에서 영천까지 오는 버스가 10분 간격으로 22:00까지 있으며 소요시간은 약 1시간이다.

    ※ 교통안내(청송방면) 단위km
    ▶ 영천역 --21--> 화북 자천리 --18.7--> 천문대 <--46.7-- 포항
    ▶ 대구 --37.4--> 영천 <--36.1-- 경주

    영천 시외버스 터미널: 054-334-2556
    영천 기차역 : 054-333-7788, 054-334-7788
    철도 회원 예약 : 1544-8545 (일반안내: 1544-7788)
    철도 예약 서비스 : http://www.qubi.com

    지도보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클릭하면 크게 보실수 있습니다.>



    관람/방문안내


    주간공개행사


    보현산천문대는 일반 방문객들을 위하여 4월에서 10월까지 매월 네번째 토요일에 주간공개행사를 실시하고 있다. 11월부터 다음해 3월까지는 주간공개행사를 하지 않는다.

    주간공개행사는 오후 2시 부터 오후 4시 까지이며, 천문학 강연 및 천문대 시설 안내 등을 받을 수가 있다. 행사참여는 무료이며, 연령의 제한은 없다. 행사시작 5일전에 반드시 예약을 해야만 한다. 예약문의는 054-330-1000으로 하면 된다.

    주요행사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천문학 강연이 오후 2시와 3시에 20분 내용으로 두 번 있으며, 강연 내용은 연사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강연을 마치면 1.8m 광학망원경동과 태양망원경동을 각각 20분 정도 견학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현산천문대를 모두 둘러보는데는 약 1시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야간에는 천체관측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반드시 일몰 전에 방문객들은 산을 내려가야 한다.


    행사장 1회 2회
    천문학강연 14:00 15:00
    1.8m 광학망원경동 14:20 15:20
    태양망원경동 14:40 15:40


    보현산천문대 방문객 센터에 있는 전시관에서는 각종 천체사진들이 전시되어 있으며, 간단한 기념품들을 실비로 구입할 수 있다. 개관 시간은 아래와 같다.   

    • 하절기 --> 10:00-17:00   
    • 동절기 --> 10:00-16:00   
    • 점심시간 --> 12:00-13:00 휴관   
    • 화-일요일 개관 / 월요일 휴관   
    • 도로 결빙 등 기상상태의 악화로 인하여 휴관될 수 있으므로 방문시 방문객 센터로 연락하여 확인하여야 한다.   
    • 전화 : 054-330-1038


    야간공개행사

    보현산천문대에서는 년중 1회에 한하여 야간공개행사를 실시하고 있다. 과학의 달(4월21일)을 기준으로 월령(달의 차고 이지러짐)등을 고려하여 행사 날짜를 결정하고 있다. 행사시간은 14:00에서 23:00까지 이다.

    보현산천문대는 천문학 연구기관이기 때문에 일반 시민천문대와는 달리 일몰 이후에는 차량의 출입을 전면 통제하고 있다. 차량의 불빛 등은 천체를 관측하는 연구자에게 있어서 경제적으로나 시간적으로 엄청난 손실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방문객 센터

    보현산천문대는 일반인들의 관람을 위하여 방문객 센터(전시관)를 운영하고 있다. 현지의 도로사정이나 기상상황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휴관될 수 있으므로 방문할 경우 반드시 방문객 센터로 연락(054-330-1038)하여 확인하기 바란다. 방문객 센터에는 천체사진 등이 전시되어 있으며, 간단한 기념품들을 실비로 구입할 수 있다.

    개관일 : 화, 수, 목, 금, 토, 일요일
    휴관일 : 월요일
    개관시간 : 오전 10시 - 오후 5시 (하절기)
                  오전 10시 ~ 오후 4시 (동절기)
    점심시간 : 오후 12시 - 오후 1시 (휴관)
    전화 : 054-330-1038



    <출처 : 보현산 천문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2007/01/24 14:51 2007/01/24 14:51


    ○ 소백산 천문대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연 혁

         - 1972-05
    국립천문대 설립위원회에서 24" Boller & Chivens 반사망원경을 연화봉에
                           건설하기로 결정
         - 1974-01 Boller & Chivens 24 인치 반사 망원경 도입
         - 1974-11 국립천문대 설립 (1974. 9, 대통령령) 및 망원경 설치작업 시작
         - 1978-09 소백산천체 관측소 준공 (국립천문대 단위부서)
         - 1980-10 광전증배관 및 Dry Ice 냉각장비를 이용한 측광관측연구 시작, 상시관측체
                           구축
         - 1986-05 국립천문대가 천문우주과학연구소(정부출연연구소)로 변경됨에 따라 소백
                           산천문대로 개칭
         - 1992-01 CCD 영상관측 장비 (액체질소 냉각장치 부착)를 이용한 정밀측광 관측연
                          구 시작
         - 1993-01 DIPHO (DIffrential PHOtometry) 개발로 자동 차등측광 관측연구 시작
         - 1997-06 연구관리동 신축공사 시작
         - 1999-06 연구관리동 완공 및 이전
         - 2001-01 광시야 2K CCD 카메라 도입

      ◇ 소 개

        △ 망원경

             - Boller & Chivens 24인치 반사망원경
             - 광학계 : 유효초점 f/13.5, 리치-크레티안 형
             - 주 경 : 61cm 유효직경, f/3.5
             - 부 경 : 18cm 유효직경, 쌍곡면
             - 관측시야 : 1도
             - 보조망원경 : 10cm 직경, f8.5, 관측시야 2 도
             - 마운트형식 : 적도의식
             - 구동속도 : 3 도/초 Slew, 3 분/초 Set, 3 초/sec Guide
             - 구동방법 : 컴퓨터제어 및 핸드 패들
             - 위치표시 : 다이얼표시계(적경, 적위, 시간각)
             - 소비전력 : 115V, 60Hz, 10A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대형쌍안경(Fujinon 150mm)
    사용자 삽입 이미지

        △ 관측기기

             - 2K CCD 카메라 : 질소냉각방식(2001년 도입)으로 2001년 9월 관측시즌부
                                       터 24인치 망원경에 부착하여 사용중. 2048 x 2048 픽셀을 가
                                       지고 있으며, 관측시야는 20.5 x 20.5 arcmin(픽셀스케일 0.6
                                       초)에 이른다. 카메라의 구동은 자체 개발은 프로그램을 이
                                       용하여 PC로 제어 함.

             - PM512 CCD 카메라 : 질소냉각방식의 512x512픽셀을 가지며, 픽셀스케일 0.5
                                             초, MacII fx로 제어 함.

             - 자동차등측광시스템(ADPS) : 이 소프트웨어는 61cm망원경과 CCD 카메라
                                                         를 컴퓨터로 구동하여 자동으로 측광관측을 수
                                                         행한다. ADPS는 PM-튜브 형태의 측광시스템
                                                         을 흉내낼 수 있으며 단주기 식변광성과 delta
                                                         Scuti, RR Lyrae와 같은 맥동변광성의 광도곡선
                                                         을 얻는데 최적화 되어 있다.

             - PM 튜브 광전측광 시스템 : 오프셋 가이더, PM 튜브 하우징, 고전압 공급
                                                       기, Keithley 485 피코전류계, 자료획득용 소프트
                                                       웨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관측시스템을 CCD로
                                                       대체함에 따라 현재는 사용하고 있지 않음.

             - 사진관측시스템 : 4x5 인치 카메라, 400mm 카메라, 칼날테스터(현재사용되
                                        지 않음) 로 구성.

             - 자동기상관측시스템 : 2001년 8월부터 기상자료(온도, 습도, 압력, 풍향, 풍
                                              속) 관측시스템 가동중.


       △ 전산시스템

            - 망원경의 제어 및 천문대 운영을 위하여 PC 8대(펜티움 IV 3대, 펜티움 III 5
              대)와 관측자료의 처리를 위해 LINUX 시스템을 운영 하고 있다. 관측실 컴퓨
              터는 관측자료를 저장할 수 있도록 CD ROM Writer 를 갖추고 있고, HP
              Laserjet 4050 프린터를 네트워크상에 설치하여 모든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인터넷 속도는 512Kbps 이다.


      ◇ 찾아 오는길

        △ 소백산 천문대 방문
             소백산 천문대에서는 순수한 연구관측의 목적이외에도 일반인들에게 과학에 대
            한 이해를 위해 폭넓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의 일환으로 주간견학과 야
            간체류 견학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 이십여년동안 학생들
            과 과학교사들을 포함한 수만명의 방문객이 다녀갔습니다. 또한 소백산 천문대
            에서는 각 대학의 아마추어 천문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주간단체방문의 경우 예약을 하시면 시간이 배정되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
            조하십시요. 기타 자세한 문의는 전화(043-422-1108) 나 팩스(043-422-1108)를 이
            용해 주세요.

        △ 주간 견학
             주간견학은 천문학 및 천문대에 관심있는 모든 분에게 개방되어 있습니다. 오
            후 1:00 - 4:00 까지 방문이 가능하고, 단체인 경우 예약을 하시면 방문시간을 배
            정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위 시간내에 오시면 예약없이 주간견학이 가능
            합니다. 예약된 주간 견학의 경우 천문대 직원이 안내와 설명을 해드리고 있으
            며, 예약없이 방문하신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 안내와 설명 여부가 결정됩니다.
             주간에는 61cm 망원경을 비롯한 연구시설의 관람과 천체 사진 및 간단한 천문학
            적 내용 설명을 주로 하고 있으며, 천체관측은 불가능 합니다.

        △ 야간체류견학
             야간체류견학은 15인 이하로 이루어진 1.천문관련전공 대학(원)생, 2.초중고 과
            학교사단체, 3.초중고대학 천문동아리, 4.아마추어 천문동호회 로 제한하며, 망
            원경의 점검기간인 7월-8월에 허용하고 있습니다. 그 외의 기간에는 관측일정을
            고려하여 그때 상황에 따라 제한적인 범위에서 허용합니다.
             체류견학을 원하는 단체책임자는 미리 소백산천문대에 전화를 하셔서 원하시
            는 일정을 협의하신 후 소속기관 또는 단체명의의 공문 또는 협조문을 편지나
            FAX로 소백산천문대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소백산천문대의 관측일정 등 소백
            산천문대 사정에 따라 허가가 보류될 수도 있으니 이점 양해 바랍니다.
             야간체류 견학은 위에서 언급한 단체에 대해 천체관측 장소제공을 목적으로 실
            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각 단체는 보유장비를 가지고 오셔서 관측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또한, 소백산천문대 내부시설을 이용하므로 15인 이내로 엄격
            히 제한하며 식수, 전기를 공급 받을 수 있으나 식사와 교통편, 등산등은 견학 당
            사자가 자체 해결해야 합니다.
             견학프로그램은 61cm 망원경을 비롯한 연구시설 설명, 천체사진 및 간단한 천문
            학적 내용 설명, 계절별 별자리 설명, 천문학 관련 비디오 관람 등으로 이루어집
            니다.

           소백산 천문대는 국립공원 내에 있으며, 관련법구에 의하면 국립공원내
          에서는 캠핑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캠핑을 목적으로 소백산 천문
          대를 방문하시는것은 불가능합니다.


        △ 교통안내
           [ 버스 ] : 먼저, 시외버스로 단양이나 풍기 시외버스 터미날에 도착합니다. 시
          내, 시외버스를 이용하여 죽령이나 희방사에 내린후, 천문대까지 산행을 해야 됩
          니다. 이때 희방사나 죽령에 버스가 서는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희방사, 죽
          령에서 출발하여 천문대까지는 걸어서 2시간 정도 소요가 됩니다. 버스는 자주
          있지 않습니다.

    희방사행 단양 ↔ 풍기 (시외버스), 풍기 → 희방사 (시내버스)
    죽령행 단양 ↔ 풍기 (시외버스), 단양 → 죽령 (시내버스)

           [ 자가용 ] : 죽령에서 차를 이용하여 소백산천문대에 오시는 분들은 미리 소백
          산국립공원 관리 사무소의 허가를 받으셔야 합니다. 특히 동절기(10월-4월)에는
          눈이 쌓여있어 안전문제로 차량 출입이 엄격히 통제 됩니다.

           서울, 경기 지역에서 오시는 경우는 중앙고속도로를 이용하여 원주,제천을 거쳐
          단양쪽으로 오시다가 단양톨게이트를 빠져 나와 영주방향 국도를 약 15분 정도
          오시면 죽령고개에 도착합니다.

           충청, 전북, 전남 지역에서 오시는 경우는 유성을 거쳐 중부고속도로 증평 톨게
          이트에서 나와 괴산 혹은 충주를 거쳐 수안보 방향으로 오시다가 수안보 휴게소
          앞 삼거리에서 단양, 영주방향으로 좌회전하셔서 충주호를 따라 오시면 구단양
          (단성)이 나오고 여기서 계속 풍기, 영주방향으로 향하면 곧 대강이라는 마을에
          이르고 여기서부터 국도를 약 15분간 오르시면 죽령 정상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
          (대전-죽령 : 3시간 20분 소요)

           경상, 경북 지역에서 오시는 경우는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해서 오시다가 금호분
          기점에서 중앙고속도로(원주방향)로 접어들어 약 1시간 30분 정도 운전하시면 예
          천을 지나 풍기톨게이트가 나타납니다. 풍기톨게이트를 빠져나와 제천, 단양 방
          향의 국도를 이용, 약 20분간 운전하시면 죽령고개에 도착합니다
          (금호분기점 - 죽령 : 약 2시간 소요)



        △ 죽령 도착후 천문대까지
          
    죽령까지 오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주차를 하시고 이곳부터 국립공원 영내이
          므로 매표소에서 입장권을 구입하여 입장하시면 됩니다. 죽령에서 천문대까지는
         약 7.2km 로서 도보로 약 2시간 - 2시간 30분 가량 소요됩니다. 등산로 주변에 식
          수를 구할 수 있는 곳이 없으므로 반드시 식수를 준비 하실 것을 권합니다.


        △ 지도 및 기타 정보
             - 도로지도
             - 소백산 등산지도
             - 단양군 홈페이지

    <출처 : 소백산 천문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2007/01/23 12:52 2007/01/23 1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