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미리 굴절에는 SBIG사의 STL-11000M 이라는 라지포맷 CCD 가 장착되어 사진용으로 쓰이고 있으며, EM400에는 템마2 콘트롤러가 적도의 하우징에 들어가 있어 깔끔해 보인다. 콘트롤러의 인터페이스는 예전과 다름이 없으며, TEC 140 굴절은 접안부가 훼더터치 이다. 특히 굴절에 잘 맞도록 랙피니언 방식으로 흘러내림이 적도 듀얼스피드도 아주 부드럽고 강하게 움직이더 좋으며, 필드 플래트너는 TEC 사의 것을 구입하기 어려워 같은 광학계를 가지는 AP의 130EDT 용 플래트너를 개조하여 장착되어 있다. 약간의 잔존 수차들이 보였으나, 여분으로 깍아간 어댭터를 달고 난후 주변 구석구석 깨알 같은 성상을 보여 준다.
동서양의 별자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나일성 천문관 예천에서 영주로 가는 28번 국도변에 위치한 나일성천문관은 나일성 박사가 연구하고 수집한 천문 자료들을 전시한 박물관겸, 천문관측 장비를 두루 갖춘 천문대겸 방문객 들에겐 산 교육장이다.
고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동서양 별자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옛천문도와 현대 성도 100여 점이 전시돼 있고, 이 밖에 서양 및 아라비아의 옛 해시계, 천체 관련 고문서, 가타 천문 관련 사진 및 자료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잘 배치되어 있다. 나일성천문관은 천문학에 관심이 많은 학생 및 일반인들에게 공개함으로써 우주의 신 비로움과 천체에 대한 열정을 북돋아 주는 훌륭한 학습장이 되고 있다.
오픈시간 : 동 절 기 - 09:00 ~ 16:00 하 절 기 - 09:00 ~ 17:00 휴 관 일 - 매주 화요일
1) 서울에서는 경부고속도로를 타고 신갈JC 에서 중앙고속도로를 타고 단양, 풍기, 영주를 지나 예천IC로 빠져 나온다. 예천IC를 나오자마자 좌회전하여 예천읍을 향해 가다보면 예천에서 영주로 이어지는 28번 국도와 만나는 삼거리에 도착하 고 여기서 우회전하여 영주방면으로 약 8km 정도를 가면 덕율삼거리에 약간 못 미처 오른쪽에 나일성천문관 입구가 나온다.
2) 서울에서 가는 또 다른 방법으로 중부내륙고속도로를 이용해서 문경새재를 지나 점촌IC에서 빠져나와 28번 국도를 거쳐 예천으로 간다. 예천에서 28번 국도를 이용해서 영주 방면으로 약 8km 정도를 가면 덕율 삼거리에 약간 못미쳐 오른쪽에 나일성천문관 입구가 나온다.
3) 대전에서는 국도를 이용해서 상주, 문경(점촌)을 거쳐 예천으로 간다. 예천에서 28번 국도를 이용해서 영주 방면으로 약 8km 정도를 가면 덕율삼거리에 약간 못 미쳐 오른쪽에 나일성천문관 입구가 나온다.
4) 부산에서는 경부고속도로를 타고 대구로 와서 서대구, 금호JC에서 중앙고속도로 를 이용해서 예천IC에서 예쳔읍으로 향하다가 28번 국도와 만나는삼거리에서 우 회전하여 영주 방면으로 가다가 덕율삼거리에 약간 못미쳐 오른쪽에 나일성천문 관 입구가 나온다.
5) 광주에서는 88고속도로를 타고 서대구IC로 온 다음 다시 중앙고속도로를 이용해 서 예천IC로 빠져나온다. 예천IC 에서 예천읍으로 향하다가 28번 국도와 만나는 삼거리에서 우회전하여 영주 방면으로 가다가 덕율삼거링 약간 못미쳐 오른쪽에 나일성천문관 입구가 나온다.
6) 대구에서는 중앙 고속도로를 이용해서 서안동을 지나 예천IC로 빠져 나온다. 예 천IC에서 예천읍으로 향하다가 28번 국도와 만나는 삼거리에서 우회전하여 영주 방면으로 가다가 덕율삼거리에 약간 못미처 오른쪽에 나일성천문관 입구가 나온 다.
<대중교통>
1) 서울 ↔ 예천 : 동서울터미널에 우등 및 일반고속버스 1일 11회 정도 운행
2) 대구 ↔ 예천 : 북부시외버스정류소에 직행버스 1일 10회 정도 운행
3) 대전 ↔ 예천 : 1일 10회 정도 운행
4) 부산 ↔ 예천 : 동부터미널에 1일 1회 정도 운행(17:00) *예천버스터미널(054-654-3798) *예천시내버스(054-654-4444)
Canon | Canon EOS 300D DIGITAL | 0ssec | F6.3 | 55mm | ISO-400 | 2005:04:16 22:26:35
Canon | Canon EOS 300D DIGITAL | 1/125sec | F8 | 27mm | ISO-100 | 2006:03:29 16:13:05
인사말
이곳 예천천문과학문화센터는 별, 밤하늘, 우주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꿈과 더 나은 미래를 향한 예천군민의 희망을 모아 설립하였습니다.
경상북도 예천에서 인류의 꿈과 미래가 있는 우주를 관찰하고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대자연 - 밤하늘 아래서 가족, 친구들과 뜻 깊은 시간 보내십시오.
예천천문과학문화센터와 자동차로 10~40분 거리의 가까운 곳에 태양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예천진호국제양궁장의 활쏘기체험’, 물돌이마을 ‘회룡포’, 안동의 ‘하회마을’, ‘도산서원’과 영주의 ‘부석사 무량수전’, ‘소수서원’ 그리고 문경의 ‘문경새재’, 'KBS드라마 촬영장’ 등 유명관광지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별을 바라보며 천문대에서 잠을 이루고, 낮시간에 폭발적인 태양의 활동을 망원경으로 관찰하고 즐겁게 한국문화의 향기가 풍부한 경북북부의 관광명소에 빠져보십시오.
설립 목적
(재)예천천문과학문화센터는 천문과학을 연구하고 보급하는 천문인과 국민 모두에게 과학문화를 널리 보급하여 미래 과학기반 지지층 조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천문과학문화 연구는 물론 그 성과물을 체험, 학습하기 원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제공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에게 과학의 재미와 미래상을 심어주어 미래 과학기술사회를 이끌어 갈 인재양성의 밑거름이 되고자 한다.
경상북도와 예천군의 지역 이미지 향상과 관람객 유치로 인한 지역경제 향상을 노력한다.
시설 안내
주 관측실
주 망원경은 반사경 지름 508mm(20인치)의 연구용등급의 반사망원경(Mikage)으로 초점비 f/5의 뉴튼식과 f/15의 카세그레인 겸용이므로 관측대상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며, 제어실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동제어 합니다.
관측자들이 머나먼 우주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도록 도와 줍니다. 천체관측용 CCD카메라 장비를 설치하여 운영중입니다.
보조 관측실
4연식(Hα 흑점 및 사진촬영용)태양 전용망원경이 설치되어 낮시간 관람객에게 태양의 자기폭풍현상인 '흑점'과 태양면을 뚫고 나오는 거대한 불기둥이라 할 수 있는 '홍염' 등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그 외 GPS 탑재방식의 반사-굴절식 망원경과 굴절망원경 등을 비롯한 여러 보조 관측망원경들을 이용하여 주-야간 관측을 진행 합니다.
전시실 겸 강당
우주에 대한 교육자료전시실 겸 강당으로 활용되는 공간입니다.
우주와 별에 관한 간결한 설명이 사진과 동영상 그리고 실체 우주에서 떨어진 운석과 함께 전시되어 있어 어린이와 기성세대의 천문우주상식 습득에 활용됩니다.
어린이 휴게실
영화 감상과 독서를 하며 휴식을 휘할 수 있는 어린이 휴게실(3층)과 차와 음료수가 있는 휴게실(2층)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 마지막 태양관측 시간인 오후 5시 20분까지 입장가능.(하절기) - 신청방법 : 전화예약(평일ㆍ주말) - 주말과 공휴일 예약없이 이용가능
★ 날씨에 따라 망원경을 통한 직접 관찰은 불가능하실 수 있습니다. ★ 식당은 천문대 입장과 무관하게 이용가능합니다. ★ 휴 관 일 : 매주 월요일 (예약단체는 이용가능,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개관하며 다음날 휴관.)
오시는 길
예천천문과학문화센터는 경북 예천군에서 영주시 방향으로 가는 28번 국도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서울, 원주 등 예천보다 북쪽 지방에서 접근하시는 경우는 중앙고속도로의 영주I.C.나 풍기 I.C.를 이용하시는 것이 편리하며, 대구나 울산 등 예천보다 남쪽지방에서 접근하시는 경우는 예천I.C. 혹은 서안동 I.C.를 이용하시는 것이 편리합니다.
우리가 생각할 수 없는 오래 전부터 사람들은 하늘을 바라보았고 하늘에 수많은 이야기들을 새겨놓았습니다. 사람들이 살아온 많은 이야기가 하늘에 새겨져 있고 먼 미래에는 사람들이 살아갈 장소가 될 하늘, 우주입니다. 최근 들어 밤하늘의 별과 우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제주도에는 밤하늘과 우주에 대해 이야기해줄 전문시설이 없었습니다.
서귀포 천문과학관은 이러한 관심에 답할 수 있는 도내 최초의 천문우주관련 과학관입니다. 본관은 무병장수를 상징하는 별인 ‘노인성(canopus)'을 관측하기에 최적의 장소로서 천문우주관련 전시물들과 밤하늘의 천체 및 태양을 관측할 수 있는 천체 망원경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아울러 가상의 밤하늘 표현과 더불어 디지털 영상을 상영할 수 있는 천체 투영실을 갖추고 있습니다. 여러분! 아름다운 밤하늘로 여행을 떠나보세요.
Canon | Canon EOS Kiss Digital | 1/200sec | F9 | 39mm | ISO-400 | 2006:06:16 17:29:41
현 황
위 치 :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하원동 산 70번지 탐라대학교내 서귀포천문과학문화관
규 모 : - 건축면적 498.78(m2) - 연면적 지상2층, 719.9(m2)
개관일자 : - 2006년 6월 15일
*본 시설은 서귀포 시청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시설 안내
관측실
주관측실
400mm 망원경이 설치되어있는 주관측실에서는 컴퓨터로 제어되는 망원경을 통해 달, 행성에서부터 우주의 여러 천체들을 관측하실 수 있습니다.
♦ 시설 : 7m 돔. ♦ 장비 : 400mm 슈미트-카세그레인식 망원경(MEADE LX200 GPS)
보조관측실
굴절식, 반사식, 반사-굴절식의 각기 다른 망원경이 총 7대가 설치되어 있는 보조 관측실은 다른 종류의 망원경들을 비교하실 수 있으며 아름다운 밤하늘의 천체와 태양을 관측하실 수 있습니다.
Canon | Canon EOS Kiss Digital | 1/200sec | F9 | 39mm | ISO-400 | 2006:06:16 17:29:41
장비 :
♦ 반사 망원경
250mm 1대 200mm 2대 150mm 1대
♦굴절 망원경
150mm 1대 70mm 1대
♦ 반사-굴절 망원경
127mm 1대
전시실
전시실
Canon | Canon EOS Kiss Digital | 1/200sec | F9 | 39mm | ISO-400 | 2006:06:16 17:29:41
무병장수의 별인 노인성과 우주를 보는 눈인 망원경에 대한 전시물을 시작으로 지구가 속해있는 태양계에서부터 우주의 별들과 은하의 특성들을 살펴볼 수 있고 체험해 볼 수 있는 시설들이 있습니다.
전시 코너
망원경의 역사와 종류 노인성(Canopus) 태양과 행성들 우주의 진화 은하의 구조와 종류 별의 진화 태양의 구조 혜성과 소행성
체험 코너
용오름 무중력거울 우주체중계
천체 투영실
천체 투영실
Canon | Canon EOS Kiss Digital | 1/200sec | F9 | 39mm | ISO-400 | 2006:06:16 17:29:41
디지털 천체 투영기를 설치한 천체 투영실에서는 날씨와 시간에 관계없이 가상의 아름다운 밤하늘의 모습과 태양계 내의 여러 행성들뿐만 아니라 우주의 아름다운 영상들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Canon | Canon EOS Kiss Digital | 1/200sec | F9 | 39mm | ISO-400 | 2006:06:16 17:29:41
시설 :
♦ 8m 돔스크린
♦ 투영기 - definiti™ TWIN (Carl Ziess사)
♦ 소프트웨어 - DigitalSky (Sky-Skan사)
♦ 수용인원 : 40명
영상 강의실
Canon | Canon EOS Kiss Digital | 1/200sec | F9 | 39mm | ISO-400 | 2006:06:16 17:29:41
다목적 공간으로 만들어진 영상 강의실은 천문다큐멘터리 등의 영상물 상영과 천문관련 강연뿐 아니라 관측실에서 관측되고 있는 천체를 CCD카메라로 연결하여 대형 화면으로 보는 것도 가능합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