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 별 천문대
천문대 소개
![]() Canon | Canon EOS 300D DIGITAL | 0ssec | F6.3 | 55mm | ISO-400 | 2005:04:16 22:26:35 | ![]() Canon | Canon EOS 300D DIGITAL | 1/125sec | F8 | 27mm | ISO-100 | 2006:03:29 16:13:05 |
인사말
이곳 예천천문과학문화센터는 별, 밤하늘, 우주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꿈과 더 나은 미래를 향한 예천군민의 희망을 모아 설립하였습니다.
경상북도 예천에서 인류의 꿈과 미래가 있는 우주를 관찰하고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대자연 - 밤하늘 아래서 가족, 친구들과 뜻 깊은 시간 보내십시오.
예천천문과학문화센터와 자동차로 10~40분 거리의 가까운 곳에 태양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예천진호국제양궁장의 활쏘기체험’, 물돌이마을 ‘회룡포’, 안동의 ‘하회마을’, ‘도산서원’과 영주의 ‘부석사 무량수전’, ‘소수서원’ 그리고 문경의 ‘문경새재’, 'KBS드라마 촬영장’ 등 유명관광지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별을 바라보며 천문대에서 잠을 이루고, 낮시간에 폭발적인 태양의 활동을 망원경으로 관찰하고 즐겁게 한국문화의 향기가 풍부한 경북북부의 관광명소에 빠져보십시오.
설립 목적
(재)예천천문과학문화센터는 천문과학을 연구하고 보급하는 천문인과 국민 모두에게 과학문화를 널리 보급하여 미래 과학기반 지지층 조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천문과학문화 연구는 물론 그 성과물을 체험, 학습하기 원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제공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에게 과학의 재미와 미래상을 심어주어 미래 과학기술사회를 이끌어 갈 인재양성의 밑거름이 되고자 한다.
경상북도와 예천군의 지역 이미지 향상과 관람객 유치로 인한 지역경제 향상을 노력한다.
시설 안내
주 관측실
관측자들이 머나먼 우주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도록 도와 줍니다.
천체관측용 CCD카메라 장비를 설치하여 운영중입니다.
보조 관측실
4연식(Hα 흑점 및 사진촬영용)태양 전용망원경이 설치되어 낮시간 관람객에게 태양의 자기폭풍현상인 '흑점'과 태양면을 뚫고 나오는 거대한 불기둥이라 할 수 있는 '홍염' 등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그 외 GPS 탑재방식의 반사-굴절식 망원경과 굴절망원경 등을 비롯한 여러 보조 관측망원경들을 이용하여 주-야간 관측을 진행 합니다.
전시실 겸 강당
우주에 대한 교육자료전시실 겸 강당으로 활용되는 공간입니다.
우주와 별에 관한 간결한 설명이 사진과 동영상 그리고 실체 우주에서 떨어진 운석과 함께 전시되어 있어 어린이와 기성세대의 천문우주상식 습득에 활용됩니다.
어린이 휴게실
영화 감상과 독서를 하며 휴식을 휘할 수 있는 어린이 휴게실(3층)과 차와 음료수가 있는 휴게실(2층)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숙 소
예천 '별' 천문대는 100여명의 인원이 숙박할 수 있는 관측자 숙소를 갖추고 있습니다.
이 곳에서 머물며 1박 2일간의 천체관측을 비롯한 천문연수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여러모임과 가족형체류시설로 야간에는 천체관측, 낮시간에는 인근의 명소를 관광하실수 있습니다.
또한 1층에 야외 바베큐시설이 준비되어 숙박객에게 제공됩니다.
이용 안내
이용 요금 및 프로그램
★ 할인: 예천군민 입장료 50% 할인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 제시) | ||||||||||||||||||||||||||||||||||
| ||||||||||||||||||||||||||||||||||
★ 날씨에 따라 망원경을 통한 직접 관찰은 불가능하실 수 있습니다. ★ 식당은 천문대 입장과 무관하게 이용가능합니다. ★ 휴 관 일 : 매주 월요일 (예약단체는 이용가능,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개관하며 다음날 휴관.) |
오시는 길
예천천문과학문화센터는 경북 예천군에서 영주시 방향으로 가는 28번 국도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서울, 원주 등 예천보다 북쪽 지방에서 접근하시는 경우는 중앙고속도로의 영주I.C.나 풍기 I.C.를 이용하시는 것이 편리하며, 대구나 울산 등 예천보다 남쪽지방에서 접근하시는 경우는 예천I.C. 혹은 서안동 I.C.를 이용하시는 것이 편리합니다. | ||||||||||||||||||||||||||||||||||||
|
<자료 출처 : 예천 천문과학 문화 센터>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