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백산 천문대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연 혁

     - 1972-05
국립천문대 설립위원회에서 24" Boller & Chivens 반사망원경을 연화봉에
                       건설하기로 결정
     - 1974-01 Boller & Chivens 24 인치 반사 망원경 도입
     - 1974-11 국립천문대 설립 (1974. 9, 대통령령) 및 망원경 설치작업 시작
     - 1978-09 소백산천체 관측소 준공 (국립천문대 단위부서)
     - 1980-10 광전증배관 및 Dry Ice 냉각장비를 이용한 측광관측연구 시작, 상시관측체
                       구축
     - 1986-05 국립천문대가 천문우주과학연구소(정부출연연구소)로 변경됨에 따라 소백
                       산천문대로 개칭
     - 1992-01 CCD 영상관측 장비 (액체질소 냉각장치 부착)를 이용한 정밀측광 관측연
                      구 시작
     - 1993-01 DIPHO (DIffrential PHOtometry) 개발로 자동 차등측광 관측연구 시작
     - 1997-06 연구관리동 신축공사 시작
     - 1999-06 연구관리동 완공 및 이전
     - 2001-01 광시야 2K CCD 카메라 도입

  ◇ 소 개

    △ 망원경

         - Boller & Chivens 24인치 반사망원경
         - 광학계 : 유효초점 f/13.5, 리치-크레티안 형
         - 주 경 : 61cm 유효직경, f/3.5
         - 부 경 : 18cm 유효직경, 쌍곡면
         - 관측시야 : 1도
         - 보조망원경 : 10cm 직경, f8.5, 관측시야 2 도
         - 마운트형식 : 적도의식
         - 구동속도 : 3 도/초 Slew, 3 분/초 Set, 3 초/sec Guide
         - 구동방법 : 컴퓨터제어 및 핸드 패들
         - 위치표시 : 다이얼표시계(적경, 적위, 시간각)
         - 소비전력 : 115V, 60Hz, 10A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대형쌍안경(Fujinon 150mm)
사용자 삽입 이미지

    △ 관측기기

         - 2K CCD 카메라 : 질소냉각방식(2001년 도입)으로 2001년 9월 관측시즌부
                                   터 24인치 망원경에 부착하여 사용중. 2048 x 2048 픽셀을 가
                                   지고 있으며, 관측시야는 20.5 x 20.5 arcmin(픽셀스케일 0.6
                                   초)에 이른다. 카메라의 구동은 자체 개발은 프로그램을 이
                                   용하여 PC로 제어 함.

         - PM512 CCD 카메라 : 질소냉각방식의 512x512픽셀을 가지며, 픽셀스케일 0.5
                                         초, MacII fx로 제어 함.

         - 자동차등측광시스템(ADPS) : 이 소프트웨어는 61cm망원경과 CCD 카메라
                                                     를 컴퓨터로 구동하여 자동으로 측광관측을 수
                                                     행한다. ADPS는 PM-튜브 형태의 측광시스템
                                                     을 흉내낼 수 있으며 단주기 식변광성과 delta
                                                     Scuti, RR Lyrae와 같은 맥동변광성의 광도곡선
                                                     을 얻는데 최적화 되어 있다.

         - PM 튜브 광전측광 시스템 : 오프셋 가이더, PM 튜브 하우징, 고전압 공급
                                                   기, Keithley 485 피코전류계, 자료획득용 소프트
                                                   웨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관측시스템을 CCD로
                                                   대체함에 따라 현재는 사용하고 있지 않음.

         - 사진관측시스템 : 4x5 인치 카메라, 400mm 카메라, 칼날테스터(현재사용되
                                    지 않음) 로 구성.

         - 자동기상관측시스템 : 2001년 8월부터 기상자료(온도, 습도, 압력, 풍향, 풍
                                          속) 관측시스템 가동중.


   △ 전산시스템

        - 망원경의 제어 및 천문대 운영을 위하여 PC 8대(펜티움 IV 3대, 펜티움 III 5
          대)와 관측자료의 처리를 위해 LINUX 시스템을 운영 하고 있다. 관측실 컴퓨
          터는 관측자료를 저장할 수 있도록 CD ROM Writer 를 갖추고 있고, HP
          Laserjet 4050 프린터를 네트워크상에 설치하여 모든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인터넷 속도는 512Kbps 이다.


  ◇ 찾아 오는길

    △ 소백산 천문대 방문
         소백산 천문대에서는 순수한 연구관측의 목적이외에도 일반인들에게 과학에 대
        한 이해를 위해 폭넓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의 일환으로 주간견학과 야
        간체류 견학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 이십여년동안 학생들
        과 과학교사들을 포함한 수만명의 방문객이 다녀갔습니다. 또한 소백산 천문대
        에서는 각 대학의 아마추어 천문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주간단체방문의 경우 예약을 하시면 시간이 배정되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
        조하십시요. 기타 자세한 문의는 전화(043-422-1108) 나 팩스(043-422-1108)를 이
        용해 주세요.

    △ 주간 견학
         주간견학은 천문학 및 천문대에 관심있는 모든 분에게 개방되어 있습니다. 오
        후 1:00 - 4:00 까지 방문이 가능하고, 단체인 경우 예약을 하시면 방문시간을 배
        정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위 시간내에 오시면 예약없이 주간견학이 가능
        합니다. 예약된 주간 견학의 경우 천문대 직원이 안내와 설명을 해드리고 있으
        며, 예약없이 방문하신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 안내와 설명 여부가 결정됩니다.
         주간에는 61cm 망원경을 비롯한 연구시설의 관람과 천체 사진 및 간단한 천문학
        적 내용 설명을 주로 하고 있으며, 천체관측은 불가능 합니다.

    △ 야간체류견학
         야간체류견학은 15인 이하로 이루어진 1.천문관련전공 대학(원)생, 2.초중고 과
        학교사단체, 3.초중고대학 천문동아리, 4.아마추어 천문동호회 로 제한하며, 망
        원경의 점검기간인 7월-8월에 허용하고 있습니다. 그 외의 기간에는 관측일정을
        고려하여 그때 상황에 따라 제한적인 범위에서 허용합니다.
         체류견학을 원하는 단체책임자는 미리 소백산천문대에 전화를 하셔서 원하시
        는 일정을 협의하신 후 소속기관 또는 단체명의의 공문 또는 협조문을 편지나
        FAX로 소백산천문대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소백산천문대의 관측일정 등 소백
        산천문대 사정에 따라 허가가 보류될 수도 있으니 이점 양해 바랍니다.
         야간체류 견학은 위에서 언급한 단체에 대해 천체관측 장소제공을 목적으로 실
        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각 단체는 보유장비를 가지고 오셔서 관측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또한, 소백산천문대 내부시설을 이용하므로 15인 이내로 엄격
        히 제한하며 식수, 전기를 공급 받을 수 있으나 식사와 교통편, 등산등은 견학 당
        사자가 자체 해결해야 합니다.
         견학프로그램은 61cm 망원경을 비롯한 연구시설 설명, 천체사진 및 간단한 천문
        학적 내용 설명, 계절별 별자리 설명, 천문학 관련 비디오 관람 등으로 이루어집
        니다.

       소백산 천문대는 국립공원 내에 있으며, 관련법구에 의하면 국립공원내
      에서는 캠핑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캠핑을 목적으로 소백산 천문
      대를 방문하시는것은 불가능합니다.


    △ 교통안내
       [ 버스 ] : 먼저, 시외버스로 단양이나 풍기 시외버스 터미날에 도착합니다. 시
      내, 시외버스를 이용하여 죽령이나 희방사에 내린후, 천문대까지 산행을 해야 됩
      니다. 이때 희방사나 죽령에 버스가 서는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희방사, 죽
      령에서 출발하여 천문대까지는 걸어서 2시간 정도 소요가 됩니다. 버스는 자주
      있지 않습니다.

희방사행 단양 ↔ 풍기 (시외버스), 풍기 → 희방사 (시내버스)
죽령행 단양 ↔ 풍기 (시외버스), 단양 → 죽령 (시내버스)

       [ 자가용 ] : 죽령에서 차를 이용하여 소백산천문대에 오시는 분들은 미리 소백
      산국립공원 관리 사무소의 허가를 받으셔야 합니다. 특히 동절기(10월-4월)에는
      눈이 쌓여있어 안전문제로 차량 출입이 엄격히 통제 됩니다.

       서울, 경기 지역에서 오시는 경우는 중앙고속도로를 이용하여 원주,제천을 거쳐
      단양쪽으로 오시다가 단양톨게이트를 빠져 나와 영주방향 국도를 약 15분 정도
      오시면 죽령고개에 도착합니다.

       충청, 전북, 전남 지역에서 오시는 경우는 유성을 거쳐 중부고속도로 증평 톨게
      이트에서 나와 괴산 혹은 충주를 거쳐 수안보 방향으로 오시다가 수안보 휴게소
      앞 삼거리에서 단양, 영주방향으로 좌회전하셔서 충주호를 따라 오시면 구단양
      (단성)이 나오고 여기서 계속 풍기, 영주방향으로 향하면 곧 대강이라는 마을에
      이르고 여기서부터 국도를 약 15분간 오르시면 죽령 정상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
      (대전-죽령 : 3시간 20분 소요)

       경상, 경북 지역에서 오시는 경우는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해서 오시다가 금호분
      기점에서 중앙고속도로(원주방향)로 접어들어 약 1시간 30분 정도 운전하시면 예
      천을 지나 풍기톨게이트가 나타납니다. 풍기톨게이트를 빠져나와 제천, 단양 방
      향의 국도를 이용, 약 20분간 운전하시면 죽령고개에 도착합니다
      (금호분기점 - 죽령 : 약 2시간 소요)



    △ 죽령 도착후 천문대까지
      
죽령까지 오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주차를 하시고 이곳부터 국립공원 영내이
      므로 매표소에서 입장권을 구입하여 입장하시면 됩니다. 죽령에서 천문대까지는
     약 7.2km 로서 도보로 약 2시간 - 2시간 30분 가량 소요됩니다. 등산로 주변에 식
      수를 구할 수 있는 곳이 없으므로 반드시 식수를 준비 하실 것을 권합니다.


    △ 지도 및 기타 정보
         - 도로지도
         - 소백산 등산지도
         - 단양군 홈페이지

<출처 : 소백산 천문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2007/01/23 12:52 2007/01/23 12:52

trackback url :: http://asteria.digimoon.net/tt/trackback/70

댓글을 달아 주세요

write a comment

[로그인][오픈아이디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