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자리 상식

밤하늘의 들은 지구의 자전과 공전에 의해 일주운동과 연주운동을 한다. 따라서 같은 날에도
1시간에 약 15° 정도 동에서 서로 이동하며, 같은 시각이라도 하루가 지나면 약 1°씩 서로 이동
한다. 따라서 특정한 날에도 초저녁과 새벽에 보이는 별자리는 다르다. 흔히 계절별 별자리
부르는 것은 그 계절의 저녁 9시경에 잘 보이는 별자리들을 칭한다.(물론 학술적 정의는 아니다.)
별자리를 쉽게 찾는 데에는 길잡이 이나 길잡이 별자리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즉, 그 계절과
시각에 잘 보이는 밝은 이나 쉽게 확인되는 별자리를 먼저 찾고 다른 별자리는 길잡이 별자리
이용해 찾는다.

  각 계절별 길잡이 들을 보면 다음과 같다.
   ­ 북쪽하늘 길잡이 - 큰곰자리 북두칠성과 카시오페이아 자리
   ­ 봄철 길잡이 - 목동자리 아쿠투르스와 처녀자리 스피카 그리고 사자자리 데네볼라
   ­ 여름철 길잡이 - 백조자리 데네브, 거문고자리 베가, 독수리자리 알타이어
   ­ 가을철 길잡이 - 페가수스 사각형
   ­ 겨울철 길잡이 - 오리온자리 베텔쥬스, 큰개자리의 시리우스, 작은개자리의 프로키온
                           황소자리 알데바란과 마차부자리 카펠라, 쌍둥이자리 풀룩스

별자리를 이루는 들에게도 번호가 있다. 가장 밝은 로 시작해서 α별, β별, γ별등으로
나아간다.
  ※ 개개의 기호

그리스
문자

α

β

γ

δ

ε

ζ

η

θ

ι

κ

λ

μ

Α

Β

Γ

Δ

Ε

Ζ

Η

Θ

Ι

Κ

Λ

Μ

읽기

알파

베타

감마

델타

엡실론

제타

에타

세타

이오타

카파

람다

그리스
문자

ν

ξ

ο

π

ρ

σ

τ

υ

φ

χ

ψ

ω

Ν

Ξ

Ο

Π

Ρ

Σ

Τ

Υ

Φ

Χ

Ψ

Ω

읽기

오미크론

파이

시그마

타우

윕실론

화이

카이

프시이

오메가

별자리를 보면 별자리 근처에 산재해 있는 많은 천체들을 관측할 수 있다.
메시에목록이나 NGC 목록, IC목록등을 참고하여 밤하늘을 관측하는 또다른 기쁨을 느껴보자.  
※ 천체 기호

기호

명칭

행성상성운

성운

은하

구상성단

산개성단







<출처 : 한국천문연구원>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2007/01/22 09:59 2007/01/22 09:59

trackback url :: http://asteria.digimoon.net/tt/trackback/68

댓글을 달아 주세요

write a comment

[로그인][오픈아이디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