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대 소개
* 별마로란?
- 별(star) + 마루(정상) + 로(고요할로)의 합성어. : 별을 보는 고요한 정상.
* 특징
- 시민천문대 최상의 관측조건인 해발 800m에 위치
- 다수의 보조망원경 보유(반사, 굴절 총 15대)
- 천문대 주변에 삼림욕장, 극기훈련장 등
- 연간 관측일 수 190일로 시민천문대 국내 최고의 관측여건 보유
- 편리한 교통(영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접근 용이)
* 현황
- 위 치 : 강원도 영월군 영흥리 봉래산 정상(해발 799.8m)
- 개관일자 : 2001년 10월 13일
- 대지면적 : 4,058㎡(1.227평)
- 건물면적 : 931㎡(282평)
- 건축규모 : 지하2층, 지상4층
- 건축구조 : 철근콘크리트라멘조(일부철골근)
천문대 바깥 전경
<앙부일구, 자오의>
해시계(앙부일구)
천문대 입구를 지나 천체투영실 옆으로 가면 볼 수 있다. 우리가
일상시 사용하는 시계의 시간과 해시계의 시간을 비교해 보는
것도 재미있다.
단,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시간은 동경 135도 기준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실제 우리나라 시간보다 30분 정도 차이가 난다. 서울은 127도 정도.
따라서 우리가 가지고 있는 시계의 시간과 비교하기 위해
앙부일구 옆면에 있는 보정표를 이용해야 한다.
자오의
지평선과 자오선을 표시한 형상구조물
<별자리판, 오픈플라네타리움>
별자리판
총 88개의 별자리를 스테인테스판에 새겨놓았습니다.
사진에서 오른쪽 별자리판 :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별자리
사진에서 왼쪽 별자리판 : 남반구 별자리
오픈플라네타리움
천문대 마당에 설치되어 있는 별자리 기구로 검은색 둥근 구모양이다.
봄 여름 가을 겨울 4개의 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아래를 통해 안으로 들어가 보면 작은 구멍을 통해
각각의 별자리를 볼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낮에 제대로 보인다.
천문대 지하 전경
<천체 투영실>
천문대 1층 전경
<고대인의 우주관, 푸코진자>
고대인의 우주관
블라인드를 이용하여 고대인의 우주관을 표현하였다. 총 4개의 우주관이
표현되어 있으며 동양과 서양의 고대 우주관을 비교해 볼 수 있는 전시물
푸코진자
푸코진자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아쉬운 점이 있다.
추가 무거우므로 너무 세게 밀면 안된다. 잘못하면 부딛혀서 큰 사고가 날 수 있다.
<태양 모형, 행성 모형>
태양 모형
태양의 내부 구조를 모형화한 전시물과 지구자전을
증명할 수 있는 푸코진자가 1층에 전시되어 있다.
행성 모형
층 천정에 매달려 있는 태양계 행성모형.
맨 끝에 있는 명왕성(이제는 행성이 아니라 소행성 134340이지만)은 굉장히 작으므로 잘 찾아봐야 겨우 찾을 수 있다.
각 행성의 크기를 한눈에 비교해 볼 수 있다.
1층에서 꼭 한번 봐야 되는 전시물.
천문대 2층 전경
태양의 내부 구조를 모형화한 전시물과 지구자전을
증명할 수 있는 푸코진자가 1층에 전시되어 있다.
행성 모형
층 천정에 매달려 있는 태양계 행성모형.
맨 끝에 있는 명왕성(이제는 행성이 아니라 소행성 134340이지만)은 굉장히 작으므로 잘 찾아봐야 겨우 찾을 수 있다.
각 행성의 크기를 한눈에 비교해 볼 수 있다.
1층에서 꼭 한번 봐야 되는 전시물.
천문대 2층 전경
<성운성단 사진 및 시청각실>
성운성단 사진 및 시청각실
성운성단 사진 및 시청각실
|
천문대 4층 전경
![]() NIKON | E5700 | Program | 0ssec | F8 | 8.9mm | 35mm equiv 34mm | ISO-100 | 2003:10:09 04:04:35 | ![]() NIKON | E5700 | Program | 1/291sec | F6.3 | 8.9mm | 35mm equiv 34mm | ISO-100 | 2003:10:09 04:06:01 |
<보조 관측실, 주 관측실>
보조 관측실
천체망원경으로 관측하는 곳
350mm 반사 1대
280mm 반사 2대
150mm 굴절 2대
130mm 굴절 1대
태양관측용 130mm 1대, 풍경관측용 130mm 굴절 1대
등 8 대의 보조망원경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보조관측실에 있는 천체망원경은
컴퓨터가 자동으로 제어하는 망원경들로 손으로 움직이는 것이 절대 아닙니다.
주 관측실
4층 주관측실에는 구경 800mm의 주망원경이 자리하고 있다. 리치-크레티앵 방식으로 만들어진 망원경으로 2006년 11월 현재까지는 일반인들이 직접 별이나 달표면을 관측할 수 있는 망원경 중에서 국내최대 크기이다. 이보다 큰 대표적인 망원경은 경상북도 영천 보현산 천문대에 설치되어 있는 직경 1.8m의 망원경이나 보현산 천문대는 과학자들이 연구하는 연구시설로 일반인들이 방문하여 자유롭게 관측할 수 있는 곳이 아니기때문에 직접 관측할 수는 없다. 주관측실 지붕은 일부만 열려 좌우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져있다. |
천문대 이용 안내
이용시 주의 사항
1. "음주자"는 프로그램 입장이 불가능 합니다.
천체투영실은 환기가 잘 안되는 관계로 음주자가 입장하면 다수의 관람객, 특히 어린 학생들에게 큰 피해를 주게 됩니다.
2. "애완동물"과 같이 프로그램을 참여 하실 수 없습니다.
3. 지하 천체투영실과 4층 관측실에서는 "사진 촬영"을 할수 없습니다.
별자리 설명이나 관측할때는 우리 눈이 어둠에 적응해야 충분히 즐기실 수 있습니다. 투영실이나 관측실에서 설명할때는 조명이 없는 상태에서 설명을 드리는데 사진촬영을 하게 되면 다른 분들의 좋은 관람을 방해하게 됩니다. 사진 촬영은 1층~3층 사이만 가능합니다.
지하천체투영실과 4층 관측실은 촬영하시면 안됩니다.
4. 프로그램 진행 중간에는 입장 하실 수 없습니다.
5. 어린 아이들의 '반짝이 신발'은 안되요.
요즘 어린 아이들이 걸을때마다 불이 켜지는 신발을 많이 신겨서 오시는데 천문대에 오실때는 보통 신발을 신겨서 오세요. 신발의 불때문에 지하천체투영실에서는 별자리 설명이 어렵구요 4층 관측실에서 관측할때도 큰 지장을 초래합니다.
천문대 이용 요금
이 용 요 금 | ||
개 인 |
성 인 |
5,000원 |
초 중 고등학생 |
4,000원 | |
단 체 |
성 인 |
4,000원 |
(30인 이상) |
초 중 고등학생 |
3,000원 |
* 단체관람의 경우 반드시 전화로 사전예약 필수 * | ||
할 인 |
* 영월군거주자(주민등록증 제시) | |
-50% |
* 국민기초생활수급자 | |
* 65세 이상 | ||
* 장애인(4급이하 + 보호자 1인) | ||
무 료 |
* 국가유공자(국가유공자증 제시) | |
* 장애인(1~3급 + 보호자 1인) | ||
* 보호자 동행 미취학 아동 |
천문대 찾아 오시는 방법
[자가용을 이용하실 경우]
1. 영월시내에서부터 : 약 10km
[영월시내] -> [춘천지방법원 영월지원] -> [영월중고등학교, 영월공고] ->
[속골삼거리 우회전] - 산길 - [천문대]
2. 서울 및 중부, 남부지방
[출발지] - 중앙고속도로 - 제천IC - 38번국도 - [영월시내]
3. 강릉 및 영동지방
(1) 고속도로를 이용할 경우
[출발지] - 영동고속도로 - [원주] - 중앙고속도로 - [제천] - 38국도 - [영월시내]
(2) 국도를 이용할 경우
[출발지] - 영동고속도로 - 장평IC -> [평창] -> [영월]
[대중교통을 이용하실경우]
영월까지 버스나 기차를 이용해서 오신 다음 [택시]를 이용해서 천문대까지 오셔야 됩니다. 천문대가 해발 800미터 산 정상에 있어 버스가 운행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버스나 기차를 이용하여 영월여행을 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택시나 랜트카를 이용하셔야 됩니다.
1. 택시요금
시내에서 천문대까지 대략 10km 정도이나 경사가 급한 산길을 계속
올라와야 되기 때문에 편도요금은 대략 만원~만오천원 정도입니다.
2. 렌트카
http://www.ywtour.go.kr/kor/CMSView.php?pid=2093
영월은 관광지가 여기저기 흩어져있기 때문에 차로 많이 이동해야
됩니다. 기름값이 적게 드는 렌트카를 이용하시는 것도 여행비용을
줄일 수 있는 한 방법일 수 있습니다.
영월 시내 -> 천문대(지도)
* 지도가 크기때문에 클릭해서 마우스 스크롤로 왔다갔다 하면서 보셔야 다 보실 수 있습니다. 제천 방향에서 38번 국도를 타고 영월쪽으로 오다가 터널두개를 연속으로 지나자 마자 오른쪽 길로 빠져서 영월시내쪽으로 들어옵니다. 시내쪽에서 동강다리 건너지 말고 왼쪽으로 진행하여 하나로마트를 지나서 계속 직진합니다. 속골 삼거리에서 우측 산길로 2km 정도 올라오다가 오른쪽 좁은 산길로 접어 들어 4km 정도 더 올라오시면 천문대입니다. [태백방면] 다리를 건너와 우측 법원방향으로 진입하여 영월고등학교를 지나 속골삼거리쪽으로 올라오시면 됩니다. |
<자료 출추 : 영월 별마로 천문대>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