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 a guestbook

[로그인][오픈아이디란?]
  1. starfield 2007/02/03 20:49

    눈으로 수성보인다~

    • asteria 2007/02/04 23:26

      토요일...모했더라..ㅡㅡ;;;
      집에서 뒹굴다 보니...ㅋ
      금성만 보고 말았는데...
      수성도 보였단 말이야..ㅡㅡ??
      이런이런...이런 기회를...ㅡㅡ;;;

  2. starfield 2007/02/01 19:24

    그게 확대하니까 어두워져서 안보이더라고..
    이게 구경이 40mm라 아이피스 9mm도 한계였어..
    근데 내 주위에는 1,2월 생일이 왤케 많냐..
    싸이 들어가면 2,3일에 2명씩 꼭있네..
    아놔.. 싸이 들가지 말아야지..

    • asteria 2007/02/01 19:27

      너도 그렇냐..??
      나도 그런데...ㅡㅡ;;;;
      싸이 들가면 생일자 있을까봐 겁난다..ㅡㅡ;;
      안그래도 요즘 완전 거지 되서 힘든데..;;;;

  3. starfield 2007/01/31 22:20

    내 블로그 태양 어때?
    홍염 무지 컷었어..

    • asteria 2007/02/01 13:35

      좋은데~~~직접 보지 못해서 아쉽넹...;;;

      확대해서 찍은것도 있었으면 더 좋았을꺼 같은데..ㅋ~

      난 이런건 왜 확대한거가 있는게 좋은지 몰라..ㅡㅡ;;

      직접하라면 구찮아서 안할꺼 같긴 하지만...ㆀ

  4. 뽀로리찌나 2007/01/30 20:08

    ㅎ ㅏ ㅎ ㅏ ㅎ ㅏ. -ㅁ -;;

    뭐 그럴수도 있지!! ㅡㅡ;;

    여튼 뭐 놀러왔어요,ㅋㅋㅋ

    싸이 이외에는 잘 안가는데,.ㅎ

    음.. 좋은데요,ㅋㅋ

    그냥 블러그 같은식인가?? -ㅁ -a

    • asteria 2007/01/30 22:59

      ㅋㄷ...^^

      설치형 블로그 라고 하지...

      다움에서는 2세대 블로그라고 하여 티스토리를 사용하는데...

      그것보다는 약간...기능이 좀더 많은 거라고 보면되..

      이것도 나름 개얀더라공...

      프로그램짜고 하는건 잘몰라서...고생중이기는 하지만 말야~ㅋ

  5. starfield 2007/01/30 15:44

    M1을 행성상 성운이라고 생각할 이유가 하나도 없는데
    누가 행성상 성운이라고 말도 안되는 얘길 한거야..

    우주로의 초대 2권 437페이지
    행성상 성운
    백색왜성의 최종 운명을 기술하기 전에 죽어가는 별의 바깥층으로 되돌아가보자. 별이 거성 상태에 있을 때 바깥 물질의 일부는 실제로 위로 떠오를 수 있게 된다. 그 결과로 우리의 별은 이제 각각이 01. 또는 0.2M(태양)까지의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팽창하는 껍데기에 둘러싸이게 된다.
    이 과정은 별의 바깥 층을 벗겨내, 처음으로 그 안쪽의 더 뜨거운 지역이 노출되게 된다. 별 중심핵이 수축에 의해 뜨거워짐에 따라, 남아있는 수소는 빠른 속도로 헬륨으로 융합된다. 중심핵이 백색왜성으로 진화해감에 따라 표면온도가 100,000K에 이를 정도로 아주 뜨거워진다. 이런 별은 최근에 방출된 물지르이 껍데기로 직접 쏟아내는 아주 강한 자외선의 근원이 된다.
    그 결과 이 껍데기는 뜨거워지고 이온화되며 빛을 내기 시작한다. 이런 빛내는 껍데기는 하늘에서 가장 장관인 천체 중 하나이다. 이들은 처음 발견되었을 때 아주 오해를 살만한 행성상성운이란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이 이름은 몇개의 행성상 성운이 작은 망원경으로 보았을 때 행성과 외형이 비슷하기 때문에 유래되었다. 실제로 그들은 태양계보다 수천배 크며 행성과 아무 관계가 없지만, 천문학에서 정식 이름으로 사용되자 바꾸는 것이 아주 어렵게 되었다. 우리 은하에 수만개의 행성상 성운이 있으나 많은 것들은 그 빛이 성간티끌에 흡수되기 때문에 시야로부터 숨겨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