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시오페아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막에 웅크리고 앉은 쌍봉낙타

북두칠성과 함께 우리에게 친숙한 별자리가 바로 카시오페이아자리다. 북극성을 중심으로 해 북두칠성 건너편에서 찌그러진 W자 모양을 한 이 별자리는 허영심 많은 에티오피아 왕비 카시오페이아가 두 손을 들고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이라고 한다.

그리스신화에 따르면 카시오페이아는 에티오피아의 왕 세페우스와 결혼해 예쁜 안드로메다 공주를 낳았다. 그녀는 자신뿐 아니라 딸의 미모가 바다의 님프(요정)들보다 뛰어나다고 뽐내고 다녔다. 이에 화가 난 님프들이 바다의 신 포세이돈에게 일러바치자 한 님프와 결혼한 포세이돈도 몹시 화를 냈다.

포세이돈은 괴물 고래를 보내 에티오피아를 파괴했다. 세페우스는 나라가 완전히 망하는 재난을 막으려고 딸인 안드로메다를 제물로 바칠 수밖에 없었다. 다행히 천마를 타고 날아가던 페르세우스가 괴물을 처치하고 안드로메다를 구했다. 포세이돈은 카시오페이아가 죽은 후 그녀를 별자리로 만들었는데, 카시오페이아는 하루의 절반을 거꾸로 매달린 채 하늘에 걸려 있게 됐다. 허영심으로 나라를 어지럽힌 벌이라고 한다.

W자 모양의 카시오페이아자리는 거꾸로 보면 M자 모양이 된다. 봉우리가 2개인 산처럼 보인다. 아라비아 지방에서는 이 별자리를 사막에 웅크리고 앉아 있는 낙타로 상상하기도 했다. 산봉우리가 낙타의 등에 있는 혹에 해당한다고 생각한 것이다. 에티오피아 왕비가 혹이 2개인 쌍봉낙타로 변신한 셈이다.

흥미롭게 카시오페이아자리는 우리 고대 유적에서도 발견된다고 한다. 평안남도 남포시 덕흥리 고구려 고분의 서쪽 벽면에 W자가 선명한 별자리가 그려져 있다는 것이다. 일부 전문가는 이 별자리를 카시오페이아자리로 보고 이것이 우리의 독자적인 천문관측의 증거라고 주장한다. 카시오페이아자리는 고대 중국의 천문자료에서는 발견되지 않기 때문이다. 대신 중국에서는 3개의 별자리로 나눠서 봤다.

카시오페이아자리는 삼국시대 이전의 유적에서도 나타난다. 청동기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경상북도 영일군 신흥리의 오줌바위에 W자 모양이 등장한다.

W자 모양의 서양 별자리인 줄로만 알고 있던 카시오페이아자리가 고대 선조들의 눈에도 띄었다니 한편으로 신기한 생각이 들면서 이 별자리가 갑자기 더 친숙하게 느껴진다.



<출처 : 글 - 이충환 동아사이언스 기자, 사진 - 박승철>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2006/10/12 02:26 2006/10/12 02:26

trackback url :: http://asteria.digimoon.net/tt/trackback/26

  1. Subject: 카시오페아자리

    Tracked from 별과 함께 하는 우리 2007/02/11 17:15  삭제

    카시오페아자리학명 Cassiopeia 약자 Cas 카시오페아는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에티오피아왕 케페우스(세페우스자리)의 아내이자 안드로메다(안드로메다자리)의 어머니이다. 이 흑인 왕비는 자신이 포세이돈의 딸들보다 더 아름답다고 자랑하자 화가 난 포세이돈이 바다괴물 케투스(고래자리)를 보내어 에티오피아를 쑥대밭으로 만들었다. 신관들이 점을 치자 공주 안드로메다를 케투스에게 제물로 바쳐야 포세이돈의 노여움이 가라앉겠다는 괘가 나왔다. 그래서 안드로메다를..

댓글을 달아 주세요

write a comment

[로그인][오픈아이디란?]